상하이 같은 전면봉쇄 피하려 전수 PCR·이동제한 등 안간힘
대외교류 단절 장기화 따른 경제·외교적 비용 부담 느끼는 듯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지난달 25일 이후 하루에 30∼60명의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오자 당국이 방역의 고삐를 점점 조이는 모양새다.
현재 베이징 시내에서 필수적인 사유가 아니면 거주 단지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관리·통제구역이 지난달 25일 이후 조금씩 확대되면서 5일 오전 현재 660개 이상의 건물이 봉쇄 중이다.
또 베이징시는 4일 전체 지하철역의 13%에 해당하는 62개 역을 폐쇄하고 158개 시내버스 노선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운행을 중단했다.
이와 함께 확진자가 가장 많이 나오는 차오양구 전 지역과, 대중교통이 통제된 지역의 기업은 노동절 연휴가 끝난 5일부터 재택근무를 하도록 했다.
아울러 베이징시는 지난달 25∼30일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2개 구에서 전 주민을 대상으로 세 차례 PCR 검사를 벌인 데 이어 3∼5일 매일 추가로 전수검사하고 있다.
사실상 시 전체가 상시적 PCR검사 체제에 돌입한 셈이다.
지난달 30일부터 4일까지인 노동절 연휴에 적용했던 식당 내 식사 금지와 각종 실내 활동 제한은 5일 이후로도 유지되고, 초·중·고교의 등교수업도 당분간 보류됐다.
상하이는 하루 수천명의 감염자가 나온 3월말 도시 봉쇄에 들어갔지만 베이징은 그 수준으로 악화하기 전에 고강도 방역 체제를 가동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점점 방역 조치의 적용 범위와 기간이 확대돼 시민들로선 언젠가 자신의 거주지도 봉쇄 구역에 포함될 수 있다는 불안을 떨칠 수 없는 상황이다.
베이징은 상하이의 길을 가느냐 마느냐의 갈림길에 선 셈이다.
중국의 수도로서 베이징의 상징성이 크고, 중앙 정부 기관과 외국 대사관이 몰려 시 방역 당국의 판단만으로 도시를 봉쇄할 수 없는 사정 등을 감안할 때 베이징시가 전면 봉쇄는 되도록 피하려 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하지만 두 자릿수인 베이징의 일일 감염자 수가 3∼4 자릿수로 급증하면 중앙 정부의 결단 하에 도시를 전면 봉쇄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중국 지도부로선 시진핑 국가 주석의 집권 연장 여부가 결정될 당 대회가 하반기에 열리는 점도 베이징의 방역 수위를 결정하는 변수다.
당 대회를 원만하게 치르고, 시 주석의 최대 치적 중 하나로 홍보하는 '다이내믹 제로 코로나' 정책의 성과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베이징시가 '3주 시설격리'로 엄격히 적용한 입국자 격리 지침을 '10일 시설 격리+7일 자가 격리'로 완화한 것은 '제로 코로나' 정책의 딜레마를 보여준다.
베이징시 당국은 4일 이를 발표하면서 코로나19 주종인 오미크론 변이의 잠복기가 짧은 특성과 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설명에도 격리기간 단축은 베이징 시내의 방역 강화 흐름과는 방향이 달라 눈길을 끌었다.
이런 '엇박자'를 두고 중국이 전세계적 '위드 코로나' 추세를 거스르고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국제사회와 경제, 외교적 교류가 단절되는 문제점을 중국 지도부도 인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즉 국내적으로는 고강도 방역을 유지하되 외국과 교류 단절에 따른 손실은 줄이려는 중국 지도부의 의중이 입국자 격리기간 단축에 투영됐다는 것이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