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수요축소→집값폭락…스웨덴 등 북유럽 특히 취약"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최근 치솟는 기준금리가 각국 부동산 시장의 시한폭탄이 되고 있다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동안 주택 가격은 초저금리, 안정적인 고용 시장, 빠듯한 공급 등 순풍을 타고 꾸준히 상승해왔다.
그러나 금리 인상으로 금융 비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주택 보유자의 부담이 커지면, 수요가 꺾이고 자산 가격 폭락으로까지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코노미스트는 주택담보대출 현황에 따라 금리 인상의 충격이 각국에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출을 낀 주택 보유자 비율,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율,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 비율 등이 높은 국가일수록 부동산 시장이 금리 인상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런 기준에 따라 부동산시장이 가장 큰 위험에 노출된 국가로 스웨덴을 지목했다.
스웨덴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주택담보대출 기준을 완화하고, 주택 보유세부담을 완화하는 혜택을 부여해 주택담보대출 총량이 최근 크게 늘었다.
과도하게 비싼 불법 전대가 횡행하면서 주택 임대차 시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탓에 안 그래도 실소유자들이 임차보다는 구매 쪽으로 몰리는 상황에서 정부가 사실상 주택담보대출을 부추긴 꼴이 됐다.
스웨덴은 주택담보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도 69.1%로 매우 높은 편이고,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중도 176.6%에 달해 금리 인상의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덴마크, 노르웨이 등 북유럽 인근 국가들도 상황이 비슷하다.
노르웨이는 스웨덴과 마찬가지로 주택담보대출이 국내 은행 총자산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다. 덴마크는 이 비율이 50%에 육박한다.
호주와 뉴질랜드 역시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높고, 가처분소득 대비 대출 비중이 커 금리 인상에 취약할 수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짚었다.
반면 일부 국가는 충격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망했다.
주택을 소유하기보다 임차하는 경우가 더 많은 독일, 대대로 주택을 상속받아 자가 보유 비중이 높은 이탈리아 등은 금리 인상의 타격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 역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견뎌낸 이후 대출 요건을 강화하고, 고정금리 비중을 높여 금리 인상을 견뎌낼 기초 체력을 다졌다고 이코노미스트는 평가했다.
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