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 현상, 인플레이션으로 심화될 수도"
한은 주최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일 "이번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진정된 뒤 선진국을 위시해 한국, 태국, 중국 등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한 일부 신흥국에서 저물가, 저성장 환경이 도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변화하는 중앙은행의 역할: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열린 BOK(한국은행)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진정됐을 때 장기 저성장(secular stagnation) 흐름이 다시 나타날 것인지 아직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면서도 이런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만약 그렇게(저물가·저성장) 된다면, 폴 크루그먼 교수가 선진국 중앙은행에 조언한 것처럼, 한국이나 여타 신흥국도 무책임할 정도로 확실하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해야만 하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자산매입 등) 비전통적 정책 수단을 활용하면 통화가치 절하 기대로 자본유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신흥국의 중앙은행은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더욱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행동해야만 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향후 개별 신흥국이 구조적 저성장 위험에 직면해 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확장적 정책을 홀로 다시 이어간다면 환율과 자본흐름, 인플레이션 기대에 미치는 함의는 사뭇 다를 것"이라며 "효과적 비전통적 정책 수단은 무엇인지 분명한 답을 찾기 쉽지 않으며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총재는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처럼 '물가안정'이라는 기본 역할에만 집중하면 되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디지털 혁신, 기후변화 등에 대한 대응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며, 이를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며 "현재 각국 중앙은행도 이런 인식 아래 CBDC(중앙은행 발행 가상화폐) 도입을 추진하고 녹색성장 관련 정책 개발과 이행을 구체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중앙은행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계속될 것"이라며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충격과 회복이 계층·부문별로 불균등했기 때문인데, 이런 양극화 현상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더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그는 "이런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려 한다고 하더라도, 소득 양극화와 부문 간 비대칭적 경제 충격의 문제를 과연 통화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도 했다.
이번 콘퍼런스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다가 올해 다시 열린 데 대해선 "2년 만에 열렸다. 많이 듣고 공부하겠다"라고 답한 뒤 취재진의 이어진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이 자리에는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조사국장, 로버트 타운센드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로런스 볼 존스홉킨스대 교수 등이 발표자로 나섰다.
신 조사국장은 "최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위협적인 수준은 아니다"라며 세계 경제의 원유 의존도가 이전보다 낮아졌다는 점을 근거로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 고물가)을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을 냈다.
최근 고용안정이 중앙은행의 책무에 포함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볼 교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통화정책이나 다른 총수요 결정요인이 자연실업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견해 등을 제시했다.
ku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