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방화문업계, 중소·영세기업이 대부분…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 요청
대기업 "품질개선·대량생산 필요" vs 기존업계 "품질·수급 문제없어"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방화문(防火門) 품질인정제' 시행과 주택 공급 확대 정책으로 방화문 업종이 잠재력 높은 시장으로 떠오르면서 동국제강[001230]과 아주스틸[139990] 등 주요 철강 기업이 진출을 예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존 방화문 업계가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논란이 예상된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방화문 시장은 2019년 기준 1조100억원 규모로, 240개 업체 중 연간 매출 300억원대의 10여개 중소업체가 시장 전체 매출의 30∼40%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약 230개의 업체는 대부분 연매출 20억원 미만의 영세 기업이다.
이처럼 중소기업이 밀집한 업종에 대기업이 발을 들이는 것을 막기 위해 방화문 업계 단체인 대한방화문협회는 동반성장위원회에 '금속 문·창·셔터 및 관련 제품 제조업(방화문)'에 대한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신청한 상태다.
그러나 방화문 시장을 노리는 대규모 철강업체들은 방화문이 안전과 직결되는 주요 건설자재인 만큼 품질 개선을 위해 공정한 경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토부가 실시한 건축 안전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방화문 부적합률은 31.6%로 높은 편이다.
이에 국토부는 방화문 품질인정제를 도입해 지난해 8월 이후 시공되는 아파트는 모두 품질인정제를 통과한 방화문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했다.
품질인정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두 번의 방화 성능 테스트를 거쳐 합격 판정을 받아야 한다. 또한 연 2회 이상의 공장 품질 관리 상태 점검, 연 1회·1개소 이상의 방화문 시공 현장 점검을 필수적으로 시행하게 돼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 도입에도 인증을 받은 업체 수는 전체의 약 10%에 그치면서 방화문의 품질 및 안전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다.
대한방화문협회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품질 인정 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인력 부족으로 업무가 지연되면서 인정 절차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있다"며 "지속적으로 품질 인정을 추가 신청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부가 향후 5년간 270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예고한 점도 국내 주요 철강 기업들이 방화문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 중 하나다.
품질인정제에 부합하는 방화문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소 100억원의 설비 투자가 필요한데, 대기업의 진출이 허용되지 않으면 필수 건설 자재인 방화문 수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기존 방화문 업체들은 "방화문 제작에 필요한 설비 비용은 10억∼15억원에 불과하며 중소·영세기업들은 그간 추가 설비 구축 없이 품질을 인정받아 왔다"며 대기업 진출에 맞서고 있다.
he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