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4회 연속 인상…물가 전망은 5%대로 상향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김유아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오는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6% 넘게 치솟은 소비자물가가 아직 정점을 지났다고 확신하기 어려운데다, 미국의 기준금리(정책금리)가 이미 우리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격차가 더 벌어지면 물가·환율 등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다만 물가뿐 아니라 경기 침체 우려도 함께 커진 만큼 한은이 무리하게 두 달 연속 빅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으로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 "경기침체 우려 등에 빅 스텝 가능성 작아"…베이비스텝 예상
24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은 금통위의 역대 첫 4회 연속(4·5·7·8월) 기준금리 인상을 점치고 있다.
추가 인상 전망의 가장 중요한 근거는 여전히 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108.74)는 외식·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3% 뛰었는데, 이는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향후 1년의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이달 4.3%로 역대 최고였던 7월(4.7%)보다는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4%대를 웃돌고 있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약간 진정됐다고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하반기까지 물가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며 "한은이 물가 대응 차원에서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물가뿐 아니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 상태도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은 뒤 미국의 기준금리(2.25∼2.50%)는 한국(2.25%)보다 높아졌다.
한은으로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격차를 좁혀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 환율 변화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등의 위험을 최대한 줄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최근 다시 불안한 흐름을 보여, 한은 입장에서는 환율 방어 차원에서라도 기준금리를 높일 필요가 있다.
연준의 7월 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통화 긴축 의지가 다시 확인된 이후 원/달러 환율은 급등하기 시작해 지난 23일 1,345.5원에 이르렀다. 2009년 4월 29일(고가 기준 1,357.5원) 이후 약 13년 4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며 "물가 상승세가 워낙 거세고 한·미 금리 역전을 장기간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불안한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금통위가 7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빅 스텝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물가 때문에 금리 인상이 필요하지만, 한은으로서도 0.5%포인트를 올리기에는 경기 침체 가능성에 부담을 느낄 것"이라며 "미국에서도 최근 경기 침체 가능성 때문에 연준이 내년 중반께 통화 긴축 기조를 멈추거나 완화 쪽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 이런 부분이 한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투자협회의 채권 보유·운용 종사자 100명 대상 설문 조사에서도 97%가 인상을 전망했고, 이들 가운데 91%는 예상 인상폭으로 0.25%포인트를 제시했다.
◇ "올해 물가상승률 24년만에 5%이상 예상…유가 떨어져도 서비스 물가 등 높아"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25일 한은은 수정 경제전망도 내놓는다.
대부분의 전문가는 한은이 현재 4.5%인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대까지 높일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올해 5%대 상승률이 현실로 나타나면,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이 공급측 요인에 이어 수요측 요인을 반영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2% 정도로 상향 조정할 것"이라며 "최근 유가가 빠르게 하락했지만, 연평균 유가는 아직 지난 5월 한은이 예상한 유가 수준인데다 농산물,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강하고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 역시 한은이 물가 전망치를 5% 이상으로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그는 "미국보다 한국에서 물가 정점이 확인되는 시기가 늦어져 물가 고점이 늦가을 정도에나 나타날 것"이라며 "환율 상승으로 수입 물가가 오르고, 외식과 서비스 물가 등 한번 오르면 내리기 어려운 부문의 물가가 요즘 많이 올라 국제 곡물, 에너지 가격이 내려간다고 해도 국내 물가 상승세가 빨리 진정되기 어렵다. 비가 많이 와서 추석 전후 농수산물을 중심으로 물가 급등세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고 근거를 설명했다.
반대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경우 2.7%에서 2%대 초중반으로 하향 조정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소비, 투자, 수출 중 하나라도 가시적으로 살아났다는 증거가 지금 없기 때문에 성장률 전망치는 낮아질 것"이라며 "수출은 세계 경제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크게 늘지 않을 것이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공급망 문제도 이어지고 있다. 금리 인상 효과가 소비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4∼2.5% 정도까지 많이 낮아질 것"이라며 "2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좋았지만, 소비만 기대 이상이었을 뿐 수출이 많이 둔화했고, 이후로도 계속 여러 나라의 경기 침체 얘기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hk999@yna.co.kr, ssun@yna.co.kr, ku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