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 전략 발표…5년간 '95조원+α' 투자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 양성…차량반도체 16대 핵심품목 개발
초급속 80%까지 충전시간 18분→5분 단축…1회 충전 600㎞ 주행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정부가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3강 도약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생산 규모를 330만대로 늘려 세계시장 점유율을 5%에서 12%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정했다.
이를 위해 세제 지원 등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5년간 자동차 업계에 '95조원+α(알파)' 투자를 촉진하고 2030년까지 미래차 전문인력 3만 명을 육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창양 장관 주재로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글로벌 3강 진출을 위한 4대 전략으로 ▲ 전동화 글로벌 톱티어(선두권) 도약 ▲ 생태계 전반 유연한 전환 ▲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을 제시했다.
전동차 톱티어 도약을 위해 지난해 25만4천대 수준인 국내 자동차 업계의 글로벌 전기차 생산 대수를 오는 2030년 330만대로 늘려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기준 5%에서 오는 2030년 12%로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해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반도체 분야 역량을 강화한다.
또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해 2030년까지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 명 등 미래차 전문인력 3만 명을 양성하고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개도 육성한다.
차량용 반도체는 프로세서·센서·전력반도체 등 16대 핵심품목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세계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3.3%에서 2030년 6.6%로 확대할 계획이다.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전기·수소차 개발도 추진한다.
전기차는 초급속 80% 충전 기준 현재 18분인 충전 속도를 2030년 5분까지 단축하고 현재 500km 수준인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 600km까지 확대한다.
수소차는 상용차 기준 현재 30만km 수준인 내구성을 2030년 80만km까지 확대하고 연비도 현재 kg당 13km 수준에서 2030년 17km까지 개선한다.
산업부는 또 규제 개선과 세제 지원 등을 통해 완성차 업계가 오는 2026년까지 5년간 계획한 '95조원+α' 규모의 투자도 밀착 지원할 계획이다.
자동차 생태계가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미래차로 유연하게 전환되도록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사업 다각화를 적극 지원하고 내연기관차의 고도화도 병행한다.
아울러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요건에 맞는 배터리를 조기 확보하고 미국 현지 자동차 생산도 앞당긴다.
희토영구자석·실리콘고무·와이어링하네스 등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등급별로 관리하고 주요 원자재의 정부 비축을 확대하는 한편 중소ㆍ중견기업 대상으로 품목별 대체 공급선도 발굴하기로 했다.
대형모터·초고속베어링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 자립화를 지원하고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현재 70%에서 2025년 9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산업부는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도 지원해 현재 선진국 대비 84% 수준인 자율주행 핵심부품 경쟁력을 2027년 100%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2024년부터는 자율주행 부품 상용화를 위한 종합연구단지를 구축한다.
산업부는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교통약자 이동지원·순찰과 같은 공공서비스 등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의 서비스 콘텐츠 개발도 추진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 로드맵 2.0'을 수립해 시장 진입을 제한하는 규제를 집중 개선하기로 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민·관이 나아가야 할 자동차 산업 전략에 대한 큰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라며 "업계와 소통하며 세부분야별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