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제재 영향…"2018년 49%→올 상반기 19%"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중국 통신장비업체에 대한 미국의 고강도 제재로 미국시장에서 중국산 통신장비 점유율이 약 5년만에 30%포인트(p)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미국 주도의 신통상체제와 통신(5G)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내 중국 통신장비 점유율은 2018년 49.2%에서 지난해 24.5%, 올해 상반기 19.0%로 낮아졌다.
세계 통신장비 수입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40.1%에서 2018년 44.7%까지 늘었다가 지난해 39.2%까지 줄었다.
중국의 통신장비 수출은 2012년부터 계속 증가해 지난해 520억달러에 달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미국 내 점유율이 하락하면서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축소됐다.
이는 미국이 중국에 5G 이동통신 산업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안보위협 등을 이유로 중국 대표 IT 기업인 화웨이에 전방위적인 제재 조치를 가한 탓이다.
화웨이의 전세계 스마트폰 점유율은 2019년 17.6%로 2위를 기록했지만 미국의 제재 이후인 2021년에는 3%대로 급락하며 순위권 밖으로 벗어났다.
보고서는 화웨이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샤오미, 오포 등 다른 중국기업과 애플이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2019년과 작년 주요 제조사별 점유율을 비교해 보면 샤오미는 9.2%에서 14.1%로 늘었고, 오포는 8.3%에서 9.9%, 비보는 3% 미만에서 9.5%, 애플은 13.9%에서 17.4%로 상승했다. 삼성은 21.6%에서 20.1%로 소폭 하락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대중국 제재가 아직 우리 기업들에게 뚜렷한 반사이익을 가져다주지는 못했지만, 향후 해외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통신장비 수출은 2015년 13억7천만달러 규모에서 2019년 7억7천만달러로 감소했지만, 이후 다시 증가하면서 지난해 10억달러 선을 회복했다.
삼성전자[005930]는 최근 미국 디시네트워크와 컴캐스트, 인도 에어텔, 캐나다 텔러스·새스크텔, 영국 보다폰 등으로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에릭슨, 노키아 등 해외 대형 벤더가 대중 제재로 인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국내 제조사에 납품을 의뢰하는 경우가 늘면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조상현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최근 미국이 주도하는 통상(通常)적이지 않은 통상(通商)질서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 등 핵심 첨단산업 분야 통상 이슈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he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