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인터뷰서 "北, 핵보유국 돼선 안 돼" 비핵화 정책목표 재확인
(서울=연합뉴스) 김동호 기자 = 북한이 잇단 미사일 도발로 7차 핵실험 의도를 뚜렷이 한 가운데, 이에 제동을 걸기 위한 국제사회 노력에 러시아와 중국이 동참하기를 기대한다는 미국 고위급 관계자의 언급이 나왔다.
이 관계자는 "북한은 핵보유국이 돼서는 안 된다"고 언급, 사실상 핵을 보유한 북한의 지위를 인정하자는 일각의 주장을 일축하며 대북 비핵화라는 미국의 정책 목표에 변화가 없음을 재확인했다.
3일(현지시간) 미국의 한 고위급 관리는 로이터 통신과 진행한 익명 인터뷰에서 북한의 7차 핵실험 전망과 관련, "북한이 준비 작업을 해왔다는 데에 높은 수준의 확신을 갖고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북한이 이것(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믿지만, '어떠한 이유로 어느 시점이 될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의 정보는 없다"고 언급했다.
그는 "북한이 지역 내 다른 국가들, 특히 러시아와 중국의 수용성이 어느 정도일지 계산해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러시아와 중국의 태도가 실제 북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러시아는 오랫동안 'DPRK'(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반대해왔다"며 "북한이 핵실험을 수행하지 않도록 이들 국가가 가진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우리가 가진 믿음이고 기대"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와 중국이 지정학적으로 한반도의 비핵화 여부에 영향을 받는 이해 당사자임과 동시에, 북한에 상당한 수준의 발언권을 갖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로이터는 이번 인터뷰가 3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을 두고 미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공개 회의를 요청한 직후 진행됐다며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이 핵실험에 나서지 않도록 설득할 수 있는 레버리지(지렛대)를 갖고 있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최근 시진핑 국가주석 3기 개막을 알린 중국 당대회 등을 고려해 북한이 핵실험 재개를 늦췄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 5∼6월 북한을 덮친 코로나19 확산세를 언급하며 "이로 인해 북한이 특히 중국으로부터 지원을 얻어낼 수 있는 방법에 집중하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사실상 일정 수준의 핵무기 역량을 갖춘 것으로 입증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자는 견해가 나오는 가운데, 이 관계자는 이 같은 의견도 일축했다.
그는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 전원의 지지로 통과된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 는 북한이 핵보유국이 돼서는 안 된다는, 절대로 안 된다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합의가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떤 국가도 이것(북한의 핵보유국 인정)을 공식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며 "정책 변화에 따른 결과는 심각하게 부정적일 것"이라고 재차 역설했다.
이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미국의 대북 정책 목표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다시금 천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그는 북한 정부가 얼마나 안정적인 상태로 보이느냐는 질문에는 "김정은(국무 위원장)의 위상을 떨어뜨릴 특별한 도전이 있다고 볼만한 아무런 증거가 없다"면서도 "앞으로도 반드시 그럴 것이라고 확신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신중한 답변을 내놨다.
최근 북한이 최근 한일 연합훈련을 거론하며 잇단 미사일 도발에 나선 실제 동기가 무엇이냐고 보느냐는 물음에는 "북한이 우리와 직접 소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알 수 없다"고 답했다.
d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