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G, 인류세 돌입 시점 정해 내년 권고안 제출 예정
"지질기록 공백 많아 명확한 시점 정의 어려워"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최재서 기자 = 인류가 지구 환경을 바꿔놓은 지질시대를 뜻하는 '인류세'(人類世, Anthropocene) 공식화 여부가 조만간 결정될 전망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30여명의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인류세워킹그룹(AWG)은 이날 인류세의 시작점 등 세부 내용을 정하기 위한 내부 투표 단계에 돌입했다.
인류세의 특성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지질 표본을 폴란드의 이탄지, 남극반도의 빙하, 일본 해안의 만(灣) 등 후보지 9곳 가운데 어디로 할지도 투표에 포함됐다.
이에 앞서 AWG는 이달 인류세의 단위를 홀로세와 같은 '세'(epoch)로 규정할지, 홀로세에 속한 '절'(age)로 규정할지에 대해서도 투표를 거쳤다.
AWG의 투표 결과와 향후 진행될 투표 내용 등은 권고안이 최종 완성될 때까지 공개되지 않는다고 NYT는 전했다.
모든 내부 투표가 마무리되는 내년 봄께 AWG는 지질학 위원회 3곳에 권고안을 제출해 인류세를 공식화할지 판단을 받게 된다.
각 위원회 60% 이상의 승인을 얻으면 인류세는 지질시대 중 하나로 인정되지만, 반대로 충분한 표를 얻지 못하면 향후 수년간은 등재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수년간 인류세를 연구해온 AWG는 2019년 34명 중 29명의 찬성으로 인류세 시작점을 20세기 중반으로 잡는 데는 합의했다.
인류의 환경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핵폭발과 비료, 발전소에서 발생한 물질들이 지구에 흔적을 남기기 시작한 시점이다.
워킹그룹의 위원장 콜린 N. 워터스는 "1920년대였다면 '자연은 인류가 영향을 미치기엔 너무 거대하다'고 생각했겠지만, 지난 세기 그런 관점은 완전히 뒤집혔다"며 "소행성 충돌과 맞먹는 충격적인 일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다만 보수적인 분위기가 만연한 지질학계에서 인류세가 공식적으로 인정될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지구의 46억년 역사는 가장 큰 시간 범위인 누대(eon)를 시작으로 대(era)-기(period)-세(epoch)-절(age) 단위로 구분된다. 현재는 '현생누대 신생대 4기 홀로세 메갈라야절'이다.
케임브리지대 지질학자 필립 L. 기버드는 지구의 지질기록에 수많은 공백이 있다고 강조하며 "많은 조각을 잃어버린 직소 퍼즐과 같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부분의 변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전 시대에서 다음 시대로 넘어가는 시점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특히 고고학자 또는 인류학자들은 지질시대 전환을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20세기 중반으로 보는 관점을 다소 불편하게 여기기도 한다.
볼티모어카운티 메릴랜드대 얼 C. 엘리스는 핵무기 사용을 기점으로 삼는 것에 대해 "편리한 국제적 지표이긴 하지만 기후변화나 다른 인류 영향에 대해 말하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인류세가 이미 많은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만큼 이를 도입하기 위해선 보다 느슨한 잣대를 활용해 혼선을 방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acui7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