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네이버·카카오의 포털뉴스 운영방식을 다루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심의위원회(제평위) 참여 단체에 한국여성민우회 등 3곳을 추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28일 포털업계에 따르면 제평위는 지난 19일 운영위원회 회의를 열고 여성민우회와 한국지역언론학회,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등 3곳을 참여 단체에 추가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들 단체가 추가되면 제평위 참여 단체는 현재 15곳에서 18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제평위원과 관련해서는 현재 15개 단체가 2명씩 추천한 30명에서 18곳에서 한 명씩 추천한 18명으로 조정하는 안이 검토됐다.
회의에서는 또 제평위의 정책과 규정을 만드는 운영위와 언론사 제재 심사를 맡는 제재 소위원회에 전체 18개 단체가 참여하는 안에 대해서도 의견이 오갔다.
아울러 포털 제휴 언론사를 심사·선정하는 입점 소위원회는 전·현직 제평위원 약 90명으로 구성된 풀(pool)단으로 개편하는 방안이 검토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렇게 되면 사안마다 풀단에서 무작위로 선임된 위원이 심사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현재는 15개 참여단체에서 1명씩 추천한 15명의 위원이 참여한다.
이 같은 구조 변경은 이르면 내년 3월 출범하는 제평위 8기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제평위는 이를 위해 내년 1월 중 신규 참여 단체로 거론되는 3개 단체와 추가 논의를 통해 최종 참여 여부를 확정하고 구체적인 규정 개정과 운영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다.
제평위 관계자는 "회의에서 단체 추가와 소위원회 구성 변경 방안 등을 큰 틀에서 논의했다"며 "세부 사항은 추후 참여 단체들과의 회의를 거쳐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그간 제평위의 운영 방식이 불공정·불투명하고 심사 기준도 자의적이라고 비판해온 언론계와 정치권의 문제 제기에 대한 개선책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제평위의 자체 개선안이 소극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송현주 한림대 미디어스쿨 교수는 "소규모로 참여 단체를 늘리고, 풀을 구성해 심사하는 방식은 제평위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를 전혀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서 "심사위원의 주관이 평가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하고, 객관화된 수치에 따른 정량평가 비중을 늘려 공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제평위 자체 변화는 방송통신위원회 주도로 추진 중인 제평위의 근본적 구조 개혁과 맞물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방통위는 지난 5월 구성한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를 통해 제평위를 민간 자율기구에서 법정기구로 전환해 법적 규제를 받도록 하고, 네이버·카카오에 각각 설치하는 등의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