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이 미국의 화웨이 추가 제재 검토 착수에 거세게 반발하는 한편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1일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 등에 따르면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이와 관련해 "미국의 적나라한 기술 패권"이라고 공격했다.
마오 대변인은 미국이 국가안보를 이유로 중국 기업을 부당하게 탄압하고 있다면서 이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이런 조치는 시장경제 원칙과 국제경제 무역 규칙을 위반하는 것이라면서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수호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인텔과 퀄컴 등 미국 기업들의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모뎀 등 부품 공급을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지난 30일 외신 보도에 대한 반응이었다.
이날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미 기업들이 화웨이에 제품 수출을 하려고 미 상무부에 승인을 신청했으나 거부·지연되는 상태인 것으로 안다고 보도했다.
차이신은 "미 상무부가 승인 여부를 두고 논의하고 있으나 아직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미국은 국가안보상의 이유로 화웨이를 제재한다는 입장이다. 화웨이가 각국 통신망에 '백도어'(인증을 받지 않고 망에 침투할 수 있는 수단)를 심어 기밀 정보를 빼내고 있다고 본다. 민간기업의 외피를 쓴 중국 정보기관이라는 것이다.
거대 통신업체인 화웨이는 그동안 중국의 정보기술(IT)을 대변하는 기업으로 통했다. 2012년 이동통신 장비 부문에서 세계 1위에 올랐으며 2019년 점유율이 28%에 달했고, 스마트폰 점유율도 2019년에 세계 2위에 오를 정도로 중국 기술 굴기의 대표주자였다.
특히 중국이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 과정에서 참여국과 경제협력을 맺을 때마다 화웨이 통신망을 깔게 함으로써 화웨이는 중국의 세력 확장과 궤를 함께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는 2011년 화웨이가 중국 인민해방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화웨이의 통신 장비가 중국의 스파이 행위와 사이버 전쟁에 이용될 수 있다고 우려해왔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2019년 5월 16일 행정명령으로 화웨이와 70개 계열사를 '수출통제명단'에 넣고, 해당 기업과 거래하려면 미정부의 허락을 받도록 한 데 이어 조 바이든 행정부는 아예 미국산 부품 공급을 전면 차단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화웨이가 미국의 기술 패권에 도전했기 때문에 제재를 받는 것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으며 대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은 5G 통신기술과 인공지능(AI)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에서 관건은 최첨단 반도체라고 보고, 화웨이 제재와는 별도로 중국을 배제한 첨단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전력투구 중이다.
kjih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