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비상] ③ 정비사업도 공사비 인상 놓고 곳곳서 파열음

입력 2023-03-05 09:01  

[건설현장 비상] ③ 정비사업도 공사비 인상 놓고 곳곳서 파열음
신반포4 공사비 갈등에 공기 8개월 연장…공덕1은 6개월간 착공 못하기도
금리인상에 자잿값·인건비 급등…"공사비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최근 공사 차질의 또다른 주범은 공사비 인상 이슈다. 수도권 정비사업 현장 곳곳에서 공사비 인상을 두고 조합과 시공사 간에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건설사들은 급격한 자잿값 상승 등으로 공사비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조합은 난색을 보이며 공기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5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GS건설[006360]은 서울 서초구 신반포4지구(신반포메이플자이) 재건축 조합과 공사비 및 공기 문제를 놓고 수개월째 갈등을 빚다가 최근 공사비 증액과 공기 연장에 잠정 합의했다.
GS건설은 애초 공사비를 9천300억원에서 1조4천억원으로 증액하고 공사 기간도 10개월 연장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우선 공사비를 1조1천300억원으로 늘리고 공사 기간은 8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다만 공사비 증액 문제는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
공사비 갈등이 길어지며 메이플자이 준공 시기는 내년 8월에서 2025년 4월로 미뤄졌다.
공사비 증액 문제를 놓고 신경전이 이어지는 현장은 이곳만이 아니다.
앞서 동부건설[005960]은 공사비 인상 문제로 서초구 방배동 신성빌라를 재건축하는 '방배센트레빌프리제' 공사를 한 달 가까이 중단하기도 했다.
동부건설과 신성빌라 재건축 조합은 2020년 11월 3.3㎡당 공사비 약 712만원에 도급계약을 맺었다.
이후 동부건설이 설계 변경, 자잿값 상승 등을 이유로 공사비 인상을 요구하면서 인상 폭을 두고 이견이 발생해 올해 1월 초부터 한 달간 공사가 중단됐다가 지난달 1일에야 재개했다.
착공도 하기 전에 공사비 인상으로 첫 삽조차 뜨지 못하는 현장도 적지 않다.
GS건설과 현대건설[000720]이 함께 시공하는 마포구 '마포자이힐스테이트'(공덕1구역)도 공사비 인상 문제를 두고 반년 넘게 착공을 못하다가 최근에서야 공사비 인상에 합의했다.
조합과 시공사업단은 2017년 도급계약 체결 당시 3.3㎡당 448만5천원이었던 공사비를 613만원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착공 시기 등은 아직 협의 중이다.
서초동 신동아아파트 재건축 조합도 2017년 8월 시공사 선정 당시 DL이앤씨[375500]와 3.3㎡당 공사비를 474만원으로 정했으나, 이번에 DL이앤씨 측에서 3.3㎡당 750만∼780만원대로 올려줄 것을 요구하면서 고심에 빠졌다.
건설사와 조합간 갈등이 깊어진 이유는 금리 인상과 자재비 급등의 여파다.
건설 분야 물가지수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건설공사비지수는 2020년 1월 118.30이었으나 올해 1월에는 150.87로 상승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자잿값이나 인건비가 오른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금리까지 뛰면서 금융비용도 급격히 상승했다"며 "상당수 사업장이 수년 전에 당시 상황에 따라 공사비를 정하고 도급 계약을 체결한 것이어서 공사비 인상 요구가 빗발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사비 인상 문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잿값 상승과 물가 상승, 금리 인상 등 대내외 여건이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쉽게 잦아들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시멘트와 레미콘 등 비금속 자재 가격이 많이 올랐고 철강도 한때 t당 6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가격이 치솟았다"며 "주요 자재 중 하나인 유연탄도 전쟁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공사비를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올해도 공사가 진행되는 곳들이 많아 자재 수요가 급격히 줄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대외 상황이 달라지지 않으면 올해 안에 공사비가 크게 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기에다 화물연대 등 노동계 파업까지 반복되며 결국 비용 증가, 입주 차질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주택시장 침체로 분양성을 보장하기도 어렵게 되면서 위험부담을 줄이려는 건설사와 조합간 공사비 갈등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동부건설 현장과 같은 공사 중단 사태가 일부 재현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chi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