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교통장관, SK온-포드 배터리공장 방문…"미래를 만든다"

입력 2023-03-05 12:00  

美 교통장관, SK온-포드 배터리공장 방문…"미래를 만든다"
민주당 잠재 대권주자 부티지지, 블루오벌SK 켄터키 건설현장 둘러봐
韓배터리업체 투자 프로젝트 첫 방문 주목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피트 부티지지 미국 교통부 장관이 SK온과 포드가 함께 짓는 미국 최대 규모 배터리 생산 기지를 방문했다.
5일 SK온에 따르면 부티지지 장관은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켄터키주 글렌데일에 있는 '블루오벌SK 켄터키' 건설 현장을 둘러보고 임직원과 환담했다.
부티지지 장관은 취임 후 처음 한국 배터리 회사가 투자하는 프로젝트 현장을 찾아 "첨단 제조시설"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는 "완공되면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큰 배터리 제조시설 중 하나가 된다"며 "여기서 일하시는 분들은 단순히 공장을 짓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만들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켄터키주, SK, 포드 등 파트너들이 이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노력한 것에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덧붙였다.
앞서 미 대선 민주당 경선에서 돌풍을 일으킨 부티지지 장관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2021년 역대 최연소인 39세 나이로 교통부 장관에 올랐다.
취임 후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 등 미국 전기차 시장 활성화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미국 민주당의 잠재적 대권 주자로도 거론된다.

부티지지 장관이 방문한 '블루오벌SK 켄터키'는 한국 배터리 기업 SK온과 미국 완성차 기업 포드가 세운 합작법인 블루오벌SK가 짓는 배터리 캠퍼스다.
628만㎡ 부지에 연산 43기가와트시(GWh) 규모 배터리 공장 2기가 들어선다. 총 86GWh는 미국 단일 부지 내 최대 배터리 생산 규모다.
이는 105킬로와트시(KWh) 배터리를 탑재한 포드 전기 픽업트럭을 연간 약 82만대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다.
작년 하반기 착공에 들어갔으며 1공장은 2025년, 2공장은 2026년에 각각 배터리 셀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생산한 배터리는 포드·링컨 브랜드 전기차 모델에 탑재된다.
SK온과 포드는 114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켄터키주와 테네시주에 배터리 공장 3개를 건설해 총 129GWh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ric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