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좌파정권' 물결…경제 지원 앞세운 中에 밀려 美 영향력 축소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중미 온두라스가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정식 수교하면서 미국은 자국의 '뒷마당' 격인 중남미에서 중국의 입지가 한층 강화되는 모습을 눈 뜨고 지켜보게 됐다.
중국과 온두라스는 26일 중국 베이징에서 외무장관 회담을 한 뒤 공동성명을 내고 대사급 외교관계를 맺기로 했다.
온두라스 외교부는 전날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성명에서 대만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중국의 원칙인 '하나의 중국' 존재를 인정한다면서 "중국 정부는 중국 전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밝혔다.
온두라스는 앞서 지난 14일 시오마라 카스트로 대통령이 중국과의 공식 관계 수립을 추진한 지 10여일 만에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하게 됐다.
중국 견제를 위해 대만에 힘을 실어주려는 미국 입장에서는 '턱 밑'에서 벌어진 중국의 외교적 승리가 뼈아플 수밖에 없다.
미국은 온두라스가 중국과의 수교 방침을 발표한 다음날인 지난 15일 "온두라스 정부는 중국이 충족되지 않을 약속을 자주 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경고한 데 이어 16일에는 온두라스에 고위급 특사를 보내 견제에 나섰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온두라스와 중국이 수교하기 직전인 25일(현지시간)에도 대만 주재 대사관 격인 미국재대만협회(AIT)를 통해 온두라스의 중국 수교 방침에 대해 "중국이 외교적 승인을 대가로 한 약속들이 궁극적으로는 이행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중요하다"며 견제에 나섰다.
AIT는 또 "대만은 신뢰할 수 있고 뜻이 맞으며 민주적인 파트너로, 대만과의 파트너십은 세계적으로 중요하고 지속 가능한 이익을 제공한다"라고 강조했지만 온두라스의 결정을 뒤집지 못했다.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는 온두라스와 중국의 수교에 대해 "미국이 중앙아메리카에 대한 자국의 영향력을 이용해 중국이 세계무대에서 대만을 고립시키지 못하게 하려 했지만 좌절됐다"고 25일 평가했다.
AP통신도 앞서 지난 15일 분석 기사에서 온두라스의 대만 단교 방침 발표는 그간 대만과 수교를 유지하도록 중미 국가들을 설득했으나 성과가 없었던 미국 바이든 행정부에 타격을 가했다고 지적했다.
온두라스는 중남미의 대표적인 친미 국가이자 대만의 핵심 수교국이었지만, 지난해 초 좌파 성향의 카스트로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대만 수교국 이탈' 가능성이 잠재해있었다.
카스트로 대통령 측은 대선 후보 시절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가 취임 직후에는 미국과의 관계를 의식한 듯 대만과 외교관계를 유지하겠다고 물러섰다.
하지만 경제적 이유가 결국 온두라스를 중국 쪽으로 돌아서게 했다.
엔리케 레이나 온두라스 외무장관은 지난 15일 AP통신에 "중국과의 경제적 관계 때문에 대만과 단교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날 현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는 대만이 제공해온 연간 5천만 달러(약 650억 원) 규모의 원조를 두 배로 늘리고, 온두라스가 대만에 진 6억 달러(7천800억 원) 규모의 부채를 '재조정'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안토니오 가르시아 외교부 차관도 지난 24일 언론 인터뷰에서 지난해 9월부터 대만 측에 최소 4차례에 걸쳐 20억달러 규모의 차관을 요청했으나 애매한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지난 20년간 중남미 지역에 대규모 투자를 쏟아부어 온 것이 미중 양국 간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결실을 본 것으로 보고 있다.
중남미 국가의 친중 행보가 계속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중남미에서는 최근 멕시코와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칠레, 브라질 등 주요 국가에 잇따라 좌파 정권이 들어서면서면서 중국과 접점이 커지는 상황이다.
중국-라틴아메리카 관계 전문가인 미치 헤이스는 NYT에 "온두라스 같은 나라들이 대만 대신 중국과 수교하게 되면 미국은 속이 뒤집히겠지만, 작은 국가이자 신흥 경제국 입장에서는 합리적인 전략임을 이해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몇 년간 이같은(온두라스와 중국의 수교) 일은 더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inishmor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