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둔화에도 본격적 일상회복이 고용시장에 훈풍
청년층 취업자 5개월째 감소…제조업 감소폭 19개월 만에 최대
정부 "고용시장 예상보다 견조…전망은 불확실성 커"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곽민서 김다혜 기자 = 3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6만9천명 증가, 고용시장에 다소나마 봄기운이 돌았다.
전반적인 경기 상황은 부진하지만, 본격적인 일상 회복이 고용시장에 훈풍을 불어넣은 것이다.
다만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5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선 7만8천명 줄었다.
◇ 취업자 수 46만9천명↑…20대 이하·40대에서 감소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22만3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6만9천명 늘었다.
이는 2월 취업자 수 증가 폭(31만2천명)보다 15만7천명 많은 수치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작년 6월부터 9개월 연속 둔화하다가 지난달 10개월 만에 반등했다.
지난달 취업자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54만7천명 늘었으나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7만8천명 감소했다.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은 2020년 2월(57만명)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지난달 취업자는 50대(5만명)와 30대(2만4천명)에서도 1년 전보다 늘었으나 20대 이하(-8만9천명)와 40대(-6만3천명)에서 감소했다.
이로써 청년층 취업자는 5개월째, 40대 취업자는 9개월째 줄었다.
청년층 고용률도 46.2%로 0.1%포인트 하락했다.
◇ 제조업 취업자는 -4만9천명…3개월째 감소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4만9천명)가 전자·기계장비를 중심으로 석 달째 감소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감소 폭은 2021년 8월(-7만6천명) 이후 최대다.
반도체 등의 수출 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도소매업(-6만6천명), 건설업(-2만명) 등도 감소했다.
반면 보건·복지업(18만6천명)과 숙박·음식점업(17만7천명), 정보통신업(6만5천명)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늘었다.
본격적인 일상회복에 따른 대면활동 증가와 돌봄수요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취업시간이 36시간 이상인 취업자는 2천185만5천명으로 83만7천명 늘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600만8천명으로 6만6천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49만7천명, 일용근로자가 1만1천명 각각 늘었으나 임시근로자는 7만5천명 감소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8만1천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명 각각 증가했다. 무급 가족 종사자는 5만5천명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2%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올랐다. 이는 1982년 7월 통계 작성 이래 3월 기준 최고치다.
◇ 실업률 2.9%…1999년 통계 개편 후 3월 기준 최저
실업자 수는 84만명으로 3만4천명 줄었고 실업률은 2.9%로 0.1%포인트 내렸다. 1999년 6월 통계 개편 이후 3월 기준 최저치다.
20대 후반(25∼29세·6.7%)과 30대(3.0%)의 실업률은 각각 0.7%포인트, 0.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 일부 기업과 공무원 채용으로 구직 활동을 한 사람이 늘면서 실업률도 다소 올랐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30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8천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쉬었음(6만8천명), 재학·수강(3만8천명), 심신장애(3만8천명) 등에서 증가했지만 육아(-16만6천명), 연로(-13만6천명) 등에서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33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6천명 줄었다.
◇ "3월 고용 예상보다 견조하지만 전망 불확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범정부 일자리 전담반 회의에서 "경기 둔화에도 본격적인 일상 회복에 따른 대면활동 증가, 돌봄수요 확대 등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면서 "3월 고용 상황이 예상보다 견조한 흐름"이라고 진단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도 3월 고용시장의 호전 요인으로 돌봄 수요, 외부 활동 증가 등 요인을 꼽았다.
고용시장 전망에 대해선 정부와 통계청 모두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서 국장은 "일상 회복과 해외 관광객 증가, 내수 활성화 대책 등은 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도 "(작년 4월 취업자가 86만5천명 증가한) 기저효과, 물가·수출 등 경기적 영향을 받는 제조업,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둔화 요인이 혼재돼 있어 (향후 고용 전망은) 불확실성이 있다"고 말했다.
방 차관도 "글로벌 금융 불안의 실물경기 파급 가능성 등으로 인해
앞으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은 불확실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momen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