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일본 시민단체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한국을 방문할 때 일본의 과거 식민지 지배와 관련해 직접 반성과 사죄를 표명하고 강제징용 피해자에게도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은 7∼8일 기시다 총리의 방한에 앞서 4일 이런 내용이 담긴 '기시다 총리는 자신의 말로 하라, 식민지 지배의 반성과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사죄를'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공동행동은 "기시다 총리가 방한해 정상회담에서 무엇을 논의할 것인가가 문제"라며 "한국 언론이 기시다 총리의 성의 있는 호응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를 듣고 실행할 일이 아니라 기시다 총리가 이 기회에 자신의 말로 과거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 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동행동은 "3월 6일 한국 정부의 징용공(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 문제 해결책 발표와 이후 한일 정상회담은 한미일 안보 협력체제의 재건과 강화를 최우선으로 해 진행되고 있는 것이 명백하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기시다 총리는 3월 16일 도쿄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한일 정상회담에서 직접 사죄와 반성을 말하지 않았다.
기시다 총리는 사죄라는 단어를 입에 담지 않고 대신 "일본 정부는 1998년 10월에 발표한 한일 공동선언을 포함해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다"는 표현만 되풀이했다.
1998년 한일 공동선언에서 오부치 게이조 당시 총리는 일본이 과거 한때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안겼다는 역사적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면서 이에 대해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기시다 총리는 또 3월 정상회담에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서도 사죄하지 않았다.
공동행동은 "2018년 한국 대법원 판결 이후 최악의 상황이었던 한일 관계가 간신히 이웃 국가 관계로 되돌아갔다지만 강제동원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인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일 정부 간 관계가 진전돼도 강제동원 피해자가 방치된 채로는 피해자도 한국 국민도 납득할 수 없다"며 "강제동원의 역사적 사실을 인정하고 피해자에게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2018년 대법원에서 승소를 확정한 강제징용 피해자 15명 가운데 10명의 유가족은 한국 정부의 '제3자 변제' 해법을 수용하고 배상금을 수령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 해법을 수용하지 않은 나머지 피해자 5명 측은 정부 해법을 거부한다는 뜻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