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팀 "열·체취로 사람 찾고 카르복실산 냄새로 공격 대상 정하는 듯"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모기는 사람 몸에서 나는 체취를 이용해 먼 곳에 있는 사람을 찾아내며 피를 빨 대상을 선택하는 데에는 체취에 섞여 있는 카르복실산 성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원 코너 맥메니먼 교수팀은 20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잠비아에 만든 1천㎡ 넓이의 실험장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세계에서 모기가 옮기는 말라리아로 해마다 50만~60만명이 숨지는 현실을 고려할 때 모기가 어떻게 멀리 있는 사람을 찾아내고 어떤 사람을 선택해 공격하는지 밝혀내는 것은 과학적으로나 보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계속돼왔으나 기존 연구는 대부분 제한된 실내 실험실에서 수행돼 야생에서의 모기 행태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실제 자연과 비슷한 조건에서 아프리카 말라리아모기(Anopheles gambiae)가 어떻게 멀리 있는 사람을 찾아내고 어떤 사람을 선택해 공격하는지 실험하기 위해 1천㎡ 넓이의 실험장을 만들었다.
먼저 실험장에 사람 피부 온도인 35℃로 가열할 수 있는 착지판들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착지판에 이산화탄소와 사람 체취를 공급하는 파이프를 연결했다. 이어 매일 밤 굶주린 모기 200마리를 풀어놓고 적외선 모션 카메라로 모기 활동을 관찰했다.
사람 체취는 실험장 밖에 설치된 1인용 텐트 6개에서 실제로 자는 6명으로부터 채취해 파이프를 통해 실험장 내 착지판으로 공급했으며, 각각의 체취 표본을 이용해 구성 성분도 정밀 분석했다.
먼저 모기를 유인하는데 열과 이산화탄소, 사람 체취 중 어떤 것이 중요한지 비교한 결과 모기는 이산화탄소만 공급된 가열 착지판보다 사람 체취가 공급된 착지판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6명의 체취를 이용해 모기의 냄새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모기가 특히 좋아하는 냄새가 있고 모기가 거의 다가가지 않는 냄새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사람의 냄새 성분은 밤마다 조금씩 달랐지만, 모기가 지속해서 달려드는 사람의 체취에는 피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카르복실산이 특히 많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모기가 거의 접근하지 않는 사람 체취에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인 유칼립톨이 다른 사람보다 3배나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유칼립톨 수치는 그 사람의 식단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공동 제1 저자인 스테파니 랭킨-터너 박사는 "사람들 체취에서 화학물질 40여가지를 확인했으며 그 비율은 서로 달랐다"면서 "모기의 선호도는 이들 물질의 혼합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맥메니먼 교수는 "모기는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주로 집 안으로 들어와 사람을 공격한다"며 "이 결과는 사람 냄새가 체온과 함께 말라리아모기가 사람을 찾아내고 공격 대상을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scite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