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들, 복용 편의성 제고로 새 수요 창출 골몰
(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제약사들이 더 복용하기 편한 약을 개발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알약으로 판매되던 감기약, 두통약이 시럽으로 나오는가 하면, 물 없이도 녹여 먹을 수 있도록 가루로 만들기도 한다.
성인이라도 알약을 삼키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고, 물 없이 복약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수요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존슨앤드존슨은 알약으로 익숙한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을 가루(파우더) 형으로 만들어 지난 3월 출시했다. 기존 알약 형태와 달리 물 없이도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고연령층의 복용 편의성을 높였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한미약품[128940]은 3년 전 캡슐 형태로 제공하던 타미플루를 시럽제로 내놨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예전에는 타미플루 캡슐을 열어 물에 타 복용해야 했다"며 "시럽제는 먹기도 편리하고 맛도 좋게 했다"고 말했다.
약품 형태를 바꾸는 것이 매출과 직결되기도 한다.
대원제약[003220]은 기존 정제였던 '코대원정'을 시럽제로 바꾼 '코대원포르테시럽'을 내놓자 매출이 급격히 늘었다고 전했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정제(알약) 형태는 매출이 한 해 약 50억 원이었다면, 2013년 시럽제로 제형을 바꾼 이후, 지난해 약 240억 원 정도로 매출이 늘었다"며 "알약은 목에 걸릴 수 있어 거부감이 있을 수 있는데 시럽은 액상이라 복용하기 편리하고 흡수도 잘 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약의 형태가 바뀌면 효능에는 차이가 없을까?
제약 규제 관리를 총괄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답변은 '없어야만 약'이다.
효과에 차이가 없다는 것이 입증되어야만 형태를 바꾼 제품이 출시될 수 있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기존 출시된 제품의 제형을 바꾸더라도 제품 자체는 새로운 것"이라며 "목표한 효능·효과를 갖추도록 제품을 만들어야 하고, 관련 증빙자료를 전부 제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약의 형태를 바꾸며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한 어린이 해열제에서 가루와 액체가 분리되는 상 분리 현상이 나타난다는 정보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며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었다.
이범진 아주대 약학대학 교수는 "시럽과 물약 등 액체 제형은 상 분리, 침전 현상이 자주 일어나고, 가루 제제는 알약보다 습도나 빛에 의한 분해가 빠르다"며 "제형 변경이 약의 투여 용량, 체내 흡수, 약효의 발현 시간 등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hyuns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