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탈취·對러 무기제공 등 北 위협에 공동 대응"
"한미일, 매년 군사훈련…北미사일·사이버행위 정보공유 강화"
"이번 회의 중국 겨냥 아냐…中 경제적 강압·긴장 고조 우려"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강병철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한미일 동반자 관계에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핵심 동맹"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 이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위 공약은 철통같다"며 "캄보디아 아세안 정상회의, 일본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이후 우리는 함께 역사를 써 내려갔다"고 평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 성과와 관련, 앞으로 한미일 3국은 "3국 정상간 연례 회의 정례화 이외에도 각료급 인사들이 정례적으로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우리는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삼각 방위 협력을 증진할 것이며, 이는 매년 한미일 합동 군사 훈련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면서 "우리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사이버 행위를 포함해 정보 공유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한미일 3국 어느 하나에 대한 위협에도 상호 대응을 위해 즉각 협조하기로 공약했다"면서 "이는 역내에서 어느 때이든 위기가 발생할 경우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을 조율하는 핫라인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울러 "대만 해협에서 평화와 안정 유지 및 경제적 강압 대응에 대한 공약을 공유했다"며 "우리는 가상화폐 탈취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위한 무기 제공을 포함한 북한의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분야 협력 강화와 관련, 그는 "우리는 평화롭고 번영하는 인도태평양을 구축하기 위한 경제적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오늘 우리는 공급망 조기 경보 시스템 발족을 공약했다. 이는 핵심 광물과 배터리 등 문제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때 조기 경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암 치료를 비롯한 의료 분야에서 협력 확대 의지를 확인하고, 과학 연구 분야에서의 공조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는 인공지능을 포함해 많은 신흥기술 분야에서 안전한 기술 개발을 위해 보조를 같이할 것"이라고도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는 "새로운 협력의 시작을 알리기에 캠프 데이비드 이상 장소는 없다.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함께 번영을 이어 나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어 진행된 3국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핵우산에 대한 신뢰도에 대한 질문에 "오늘은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발족하기 위한 첫 회의"라면서 "안보를 포함해 경제 및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과 협의가 지속될수록 우리 관계는 갈수록 강력해질 것"이라고 답했다.
납북자 및 북한에 억류된 전쟁 포로 문제에 대해선 "모든 국군 포로와 납북자, 억류자들에 대해 우리는 공동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국군 포로가 모두 돌아오도록 협력을 공약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상회의에 대한 중국의 비판에 대해선 "이 회의는 중국에 대한 것이 아니지만 정상회의에서 중국문제는 확실히 거론됐다"면서 "우리는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대해 우려를 공유하며 중국에 의한 긴장 고조에 우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회의는 진정으로 삼국 관계를 다양한 분야에서 심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는 한층 평화롭고 번영된 인도태평양을 위한 것이며, 이는 앞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선 "우크라이나는 끔찍한 상황에 처해있다"며 "러시아는 이미 패배했으며 절대로 애초 목표를 이룰 수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만약 중국이 대만을 침공한다면 또 어떤 상황이 벌어지겠느냐. 아시아에서도 그 같은 침공이 벌어진다면 결과가 엄청날 것"이라면서 "우리는 지금 변곡점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 계획을 묻는 질문엔 "올 하반기에 시 주석을 만날 것을 여전히 기대한다"면서 "발리 회담 이후 후속 조치가 이뤄질 것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kyung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