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 결합한 청사진 선보일 계획…카카오는 합리적 비용에 초점
AI 서비스 전략 서로 달라…업계선 네이버 유료·카카오 무료 예측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해외 빅테크들의 초거대 인공지능(AI) 독점 양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사실상 유일한 K-대항마인 네이버의 AI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가 오는 24일 베일을 벗는다.
2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국내 초거대 AI 개발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업은 네이버다.
네이버는 2021년 자체 보유한 슈퍼컴퓨터와 네이버 생태계에 있는 데이터를 활용,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개발해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
하이퍼클로바는 외부 클라우드가 아닌 국내 기업 최초로 도입한 700PF(페타플롭·1초당 1천조번의 연산 처리가 가능한 컴퓨터 성능 단위) 성능의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를 기반으로 성능이 개선된 하이퍼클로바X는 매개변수(파라미터)가 2천40억개 규모로 개발됐다.
현재 초거대 AI 언어모델 개발 경쟁이 구글의 '팜2'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GPT4'로 양분된 가운데,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의 LLM 하이퍼클로바X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말부터 GPT 시리즈를 필두로 해외 빅테크의 AI 독점이 가속하면서 이들과 경쟁할 국산 원천 기술 확보가 화두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하이퍼클로바X의 매개변수(2천40억개)는 'GPT-3'(1천750억개)를 넘어서고, 'GPT-3.5'를 기반으로 한 챗GPT보다는 한국어를 6천500배 더 많이 학습한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는 자리에서 하이퍼클로바X를 플러그인(Plug-in) 형태로 연동해 필요한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클로바X'와 검색에 특화해 개발된 대화형 AI 검색 서비스 '큐:'도 함께 선보인다.
또 이들 서비스를 상거래(커머스), 창작, 금융 등 기존 사업과 결합한 청사진을 선보일 계획이다.
반면 네이버와 더불어 국내 양대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의 경우 오는 10월 이후에 선보일 LLM '코지피티(KoGPT) 2.0'에 대해 파라미터 기준 60억·130억·250억·650억개 등 다양한 크기의 모델을 시험 중이다.
파라미터 규모보다는 합리적인 비용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대규모·고성능 AI 모델은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든다는 점을 고려한 전략이다.
이처럼 국내 최대의 검색 포털 서비스를 내세우는 네이버와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메신저를 운영하는 카카오는 각기 특장점이 다른 만큼, AI 서비스·개발 전략에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업계에서는 B2B(기업 간 거래)와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시장 모두를 겨냥하는 네이버와 B2C 시장에 집중하는 카카오의 AI 서비스가 각각 유료와 무료로 나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네이버 관계자는 "유료로 제공할 예정인 B2B 클라우드 상품 '클로바 스튜디오'의 가격은 정식 출시 시점인 10월에 공개할 예정"이라며 "B2C 서비스인 클로바X와 큐:는 유료화와 관련해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카카오 측은 "아직 모델 개발 단계라 유·무료 여부에 대해 확단이 어렵다"면서도 "코지피티 2.0 공개 시에도 기존 다른 모델 공개 때와 동일하게 오픈 소스로 개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LLM 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 둘다 B2B보다는 B2C 시장을 겨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