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금융 관련 여러 문제를 간단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진 암호자산이 개발도상국에서는 오히려 금융 위험도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금융기구 국제결제은행(BIS)은 최근 보고서에서 '금융의 미래'로 주목받던 암호자산이 애초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23일 보도했다.
BIS는 "암호자산도 다른 모든 자산과 마찬가지로 위험도와 규제의 관점에서 평가돼야 한다"며 개도국 시장의 성격, 구조, 구성, 작용 등에서 비롯되는 암호자산의 취약성과 위험도는 다중적이라고 밝혔다.
우선 개도국 국가 당국들은 시장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면서 이는 금융 기관과 핵심 시장 인프라 간의 중요한 연결 지점에 대한 확인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중요 요소들이 공개되고 결국 암호자산이 애초에 내세웠던 익명성에는 반하게 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암호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와 감독을 위해 금지, 억제, 규정 도입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어 역외에서 익명으로 작동하는 암호자산 시장의 성격을 고려할 때 완전한 금지는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보고서는 "(암호자산 완전 금지시 개도국의) 정책입안자들은 반대로 시장에 대한 모든 시야를 잃게 되고 시장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은 더 낮아지게 된다"며 "암호자산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온갖 혁신도 잃어버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BIS는 2030년까지 24개국 중앙은행이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를 보유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조사 결과를 지난달 내놓기도 했다.
국가 별로는 중국의 CBDC 시범 사용 인구가 2억6천만명에 이르며, 인도와 브라질은 내년에 CBDC를 시장에 내놓을 예정으로 알려졌다.
스위스중앙은행은 지난 6월 거액결제용 CBDC 시범 발행 의사를 밝혔고, 유럽중앙은행(ECB)도 2028년 출시 전망 속에 디지털 유로 도입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유럽연합(EU)은 올 초 가상화폐를 악용한 자금세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규제 법안 시행을 확정한 바 있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