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말 이후 지역별 가계부채 9.1% 증가…인천·경기·대구 순
청년층·저소득층 특히 많이 늘어…리스크 관리 필요성
이창용 총재 "가계부채, 금융시장 안정 저해…연착륙 노력"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서울과 경기, 세종 지역의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가 1억원을 돌파했다.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은 세종과 제주, 대구 등에서 가장 높았고, 전국적으로도 소득의 2배 이상의 부채를 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가계부채가 재차 증가하는 가운데 실물경기 회복 지연과 고금리 상황 지속 등이 겹치면 채무상환 부담 증대로 부실 위험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한국은행 제주본부 양재운 과장이 신용정보원 및 신용정보회사(NICE)를 통해 분기별로 수집한 가계부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전국(제주 제외)의 가계부채는 2019년 말 대비 9.1% 증가했다.
인천의 가계부채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22.7% 증가했고, 경기(16.4%)와 대구(16.3%), 부산(13.1%), 광주(12.4%), 경북(11.1%) 등의 가계부채 증가율도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번 분석은 예금취급기관 외에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 등 비예금취급기관의 대출 및 신용판매(할부·리스 등)도 포함해 진행했다.
지역별 가계부채를 차주 수로 나눈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를 추산한 결과 전국 평균(제주 제외)은 8천900만원으로 집계됐다.
세종이 1억1천2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과 경기도 역시 1억600만원과 1억300만원으로 1억원이 넘었다.
이어 대구(9천900만원), 제주·인천(각 9천700만원), 부산(9천600만원), 울산(9천500만원) 등도 1억원에 육박했다.
전남(7천400만원), 강원·전북(각 7천500만원), 충북(7천600만원), 경북(7천800만원) 등 도지역의 1인당 가계부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2019년 말과 비교해 지난 1분기 말 기준으로 대구와 인천의 1인당 가계부채가 18.4% 증가했고, 부산(14.5%), 광주(10.8%), 서울(10.6%), 대전(10.3%) 등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을 살펴보면 1분기 말 기준 전국 평균이 227%로, 차주들은 소득의 2배 이상의 가계부채를 짊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도별로는 세종이 268%로 가장 높았고, 제주(258%), 대구·경기(각 254%), 인천(253%), 부산(250%), 서울(247%), 울산(226%), 광주(224%), 충남(218%)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이, 소득수준별로는 저소득층의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가팔랐다.
지난 1분기 말 기준 연령별 1인당 가계부채 규모를 보면 청년층(20ㆍ30대)이 평균 7천400만원이었고, 고령층(60대 이상)이 8천300만원, 중장년층(40·50대)은 1억원으로 분석됐다.
2019년 말과 비교하면 청년층의 1인당 가계부채는 20.4% 급증, 중장년층(5.8%)과 고령층(2.8%) 증가율을 훨씬 웃돌았다.
소득수준별로는 1분기 말 현재 소득 상위 30%인 고소득층의 1인당 가계부채가 1억2천800만원이었고, 중소득층(소득 상위 30∼70%)은 6천300만원, 저소득층(소득 상위 70∼100%)은 5천60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저소득층의 1인당 가계부채는 2019년 말 대비 15.7% 증가했고, 중소득층은 8.1%, 고소득층은 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세는 우선 2020∼2021년 저금리 기조하에서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 기대로 차입을 통한 투자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후 2021년 하반기부터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오른 데다, 금융당국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주춤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다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 기대 등으로 가계부채가 재차 증가세를 보이면서 당분간 1인당 가계부채 규모가 다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국내 경기둔화 및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차주의 원리금 상환부담 증대, 중국 부동산 위기 확산 등으로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증대되고 있어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장 안정을 저해하고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중앙은행의 관심(사항)"이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총량이 늘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시적 정책을 통해 가계부채 흐름을 조정해보고, 더 많이 증가한다거나 시장 반응이 부족하면 거시적 정책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판단한다"면서 "가계부채가 연착륙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pdhis9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