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전기차 구매 보조금 축소…완성차업계 생산 속도 조절
배터리업계도 예의주시…전기차 시장 성장전망은 유효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와 소비 위축 등으로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 제조사들도 제품 생산 속도를 조절하는 등 숨 고르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 전기차 판매 비중의 30%를 차지하는 독일은 지난해보다 20∼30% 가량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축소한 데 이어 앞으로도 보조금 지급 규모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2025년에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폐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독일 자동차 무역 중앙협회(ZDK)는 내년 환경 보조금 예산이 기존에 예상했던 14억유로(약 2조원)보다 6억유로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르네 요스비히 ZDK 회장은 "실제로 내년 환경 보조금 예산이 삭감된다면 독일의 전기차 증가 속도는 더욱 느려질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유럽 전기차 시장을 주도해 온 독일이 보조금 축소에 나서며 다른 유럽 국가로도 이 같은 분위기가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영국은 올해 보조금을 완전히 폐지했고, 프랑스도 올해 말부터 차량 탄소 배출량 기준을 도입하며 보조금 지급 기준을 까다롭게 개편할 예정이다.
전기차는 초기 생산 비용이 높았던 탓에 내연 기관차보다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그동안은 이를 각국 정부가 보전해 왔으나 전기차 대중화로 원가를 낮춘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고, 전기차 판매 촉진보다 인프라 형성이 더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며 보조금 지급 명분이 약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글로벌 완성차 업계는 전기차 생산 속도 조절에 나서는 모습이다.
포드는 올해 말까지 전기차 생산 목표를 60만대에서 40만대로 낮추고, 기존 60만대 목표는 내년으로 미뤘다. 제너럴모터스(GM)는 유일한 저가 전기차인 볼트의 생산 중단을 선언했다가 이를 번복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전기차 산업의 후방 산업인 배터리 업체들도 둔화하는 전기차 시장 흐름을 거스르기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업계가 중단기적 지역별 수급 변화나 완성차 업체들의 판매 동향 등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생산계획 최적화·유연화 등을 통해 대응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기차 판매가 단기적으로 위축되더라도 중장기적으로는 유럽과 미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 전망이나 완성차 업계의 강력한 전동화 추진 의지는 유효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 실현에 있어 전기차로의 전환은 필수"라며 "단기적인 시장의 부침은 있더라도 중장기 전기차 시장 성장은 가시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국내 배터리 산업에 대한 중장기적 성장세 역시 긍정적인 시각이 유효하다고 봤다.
배터리 업계에서도 글로벌 경기 둔화로 전기차를 포함해 전반적인 완성차 수요가 단기적으로 영향을 받더라도 중장기적인 전기차 전환 트렌드는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제조를 위한 글로벌 공급망이 빠르게 구축되면서 내연기관차로 회귀하거나 수소 등 다른 에너지원에 기반하는 신규 인프라를 구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결국 차량 수요는 다시 전기차로 몰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은 전기차 전환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미국 정부는 기존 내연기관차 공장의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 공장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사에 120억달러(약 15조8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K-배터리 업체들의 해외 투자 계획은 순항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GM과 합작사 얼티엄셀즈를 설립, 작년 말 양산을 시작한 4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오하이오 1공장을 비롯해 총 3개의 합작 공장(총 145GWh)을 가동 또는 건설 중이다.
SK온은 포드와 손잡고 블루오벌SK를 합작, 미국 켄터키주와 테네시주에 총 127기가와트시(GWh) 규모로 3기의 배터리 공장을 짓는 중이다. 유럽에서도 헝가리 이반차에 30GWh 규모의 공장을 건설 중이다.
삼성SDI[006400]는 GM과 총 4조원을 투자해 미국에 30GWh 이상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공장을 짓기로 했다. 2026년 양산이 목표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유럽 또는 북미에서의 합종연횡 사례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 회복 이후에 대비해 주요 글로벌 거점에 배터리 생산 능력을 선제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 테슬라발(發)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으로 리튬인산철(LFP)과 같은 저렴한 배터리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배터리 기업들도 LFP를 비롯한 배터리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섰다.
삼성SDI는 이달 독일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3'에서 LFP 양극재에 망간을 추가한 리튬망간인산철(LMFP) 배터리를 처음 공개했다. 앞서 SK온은 3월 '인터배터리 2023' 전시회에서 국내 최초로 LFP 배터리 시제품을 선보였다.
hanajj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