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기준…"고유가로 원자잿값 상승하면 한국 교역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정부 "교역액 감소는 유가 하락 영향…IT·제조업 회복으로 내년 선전 예상"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민경락 박재현 기자 = 한국의 7월 수출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OECD 회원국 가운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수출과 수입액을 합친 전체 교역량이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위축되면서 중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의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상대적으로 한국의 교역액 감소 폭이 큰 것은 올해 일시적인 글로벌 제조업 불황과 유가 하락 영향이 크다며 내년에는 수출·수입액과 성장률 모두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올해 한국 수출 감소 폭, OECD 회원국 중 최상위
24일 OECD가 취합해 공개한 자체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한국의 수출액은 1년 전보다 15.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수출 감소 폭은 아직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콜롬비아를 제외한 OECD 37개 회원국 중 노르웨이(-50.2%), 에스토니아(-19.4%), 리투아니아(-16.4%)에 이어 네 번째로 컸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 인구 5천만명 이상인 '30-50클럽' 7개국 중에서는 한국의 수출이 가장 많이 줄었다.
지난해 12월(-10.1%)과 1월(-15.8%) 한국의 수출 감소 폭은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컸다.
그 뒤로도 6월(-7.1%·17위)을 제외하면 반년 이상 수출 감소 폭 4위권 이내를 벗어나지 못하는 불명예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재정·통화 긴축 기조,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세계 교역량이 위축된 상황에서 한국이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와 관련이 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대중국 수출은 14개월째 줄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이자 최대 수출국이다.
올해 1∼7월 우리나라의 전체 교역액과 총수출액에서 중국의 비중은 각각 20.9%와 19.6%였다. 같은 기간 주력 수출품인 메모리 반도체의 대중국 수출액 비중은 약 45%에 달했다.
전 세계 경기에 악재로 작용하는 중국의 더딘 경기 회복이 유독 한국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정부는 올해 한시적인 IT 중심의 제조업 불황 영향 탓에 수출이 크게 줄었다고 보고 있다. 유가 하락으로 석유화학 제품 단가가 하락한 점도 수출액 감소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반도체 중심으로 수출 부진이 완화되고 있고 특히 단가를 뺀 물량 기준으로는 개선 흐름에 있는 만큼 곧 수출액도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며 "유가 상승 기조 역시 수출 단가를 올려 수출액을 늘리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수출보다 더 쪼그라든 수입…에너지 외 품목 수입도 줄어
수입액은 수출보다 감소 속도가 더 빠르다.
한국의 7월 수입은 1년 전보다 25.4% 줄어 OECD 37개국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회원국 중 20% 이상 수입이 줄어든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2위인 핀란드(-17.9%), 3위인 일본(-17.4%)과의 격차도 7%포인트(p) 이상 벌어졌다.
올해 4월과 5월 수입 감소 폭은 OECD 회원국 중 각각 7위, 6위를 기록한 뒤 6월 11위까지 떨어졌지만, 7월 1위로 수직 상승했다.
수입액 감소는 7월까지 계속된 에너지·원자재 가격 하락 영향이 가장 컸다.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의 7월 수입액은 1년 전보다 47% 감소했다. 3대 에너지 수입액은 우리나라 전체 수입의 20%에 달한다.
수출품 생산을 위한 원재료나 중간재 수입도 감소세다.
7월 반도체, 철강 제품, 반도체 장비 등 에너지를 제외한 품목의 수입은 16.8% 줄었다.
국내 경기 및 수출 부진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반도체 중심의 수출 부진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수입액은 늘 수 있지만 수출을 위한 중간재 등 수입이 줄어드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 "고유가 지속시 수출 의존 한국경제 더 큰 충격"
수출·수입이 동시에 줄면서 전체 교역량이 큰 폭으로 쪼그라드는 것은 인구 감소, 물가 상승 누적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 가계 부채 등 구조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고금리에 따른 긴축 기조, 유가 상승 등이 계속되면 중장기적으로는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유가가 올라가면 전체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교역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한국처럼 수출에 많이 의존하고 통화 정책 수단이 제한적인 나라는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올해 수출 감소는 글로벌 교역량 감소에 따른 결과로 내년에는 IT·제조업 개선으로 선전이 예상된다"며 "내년 OECD가 대부분 국가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한국은 올해보다 높게(1.5→2.1%) 전망한 것은 이런 수출 회복세에 근거한 것"이라고 말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