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공급망 '탈중국' 가속…"아이폰 배터리, 인도 생산 희망"

입력 2023-12-07 16:21  

애플, 공급망 '탈중국' 가속…"아이폰 배터리, 인도 생산 희망"
"배터리 제조업체들에 통보…공장 신설·증설 요청"
공급 순조로우면 확대…日 TDK, 배터리 셀 시설 구축 나서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애플이 글로벌 공급망의 다각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모습이다.
특히 공급망의 제조시설을 중국에서 인도 등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려는 노력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애플은 이런 방침에 따라 조만간 출시 예정인 최신 아이폰의 배터리가 인도에서 생산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도 일간 비즈니스 투데이 등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부품 공급업체들에 이미 이런 내용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더사이(DESAY·德塞西威)와 같은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인도에 신규 공장 설립을 권유받았으며, 대만의 심플로(Simplo)는 향후 추가 주문에 대비해 인도 내 생산 확대를 요청받았다.
애플은 아이폰16용 배터리 공급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더 많은 아이폰 배터리 생산지를 인도로 이전할 계획인 것으로 소식통들은 전했다. 아이폰16은 내년 출시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비즈니스 투데이에 따르면 인도 연방정부 전자·IT 담당 부장관인 라지브 찬드라세카르는 지난 5일 애플 공급업체인 일본 TDK가 인도에서 아이폰용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을 생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TDK가 델리주에 인접한 하리아나주 마네사르에 180 에이커(73만㎡) 규모의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며 생산된 제품은 인도산 아이폰에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공장은 2025년에 가동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지난달 말, 애플의 최대 공급업체인 대만 폭스콘은 인도의 신규 제조 시설에 15억달러(약 2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폭스콘은 중국 허난성 정저우 공장에서만 아이폰의 8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장 봉쇄 상황에서 노동자들의 집단 탈출로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자, 중국 공장의 인도 이전 등을 추진해왔다.
애플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고조되자 제조 및 공급망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애플은 협력업체들에 베트남과 인도 생산량을 늘리도록 요구해 왔으며, 중국 내 일부 생산 라인을 다른 나라로 이전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경우 2017년 대만 조립업체들인 위스트론과 폭스콘을 통해 주로 아이폰 구형 모델이나 저가 모델 위주로 생산을 시작했다.
생산이 늘면서 고가 및 최신 제품으로 옮겨가 인도에서는 지난해 아이폰14에 이어 올해 아이폰15가 생산됐다.
그러나 베트남과 인도에서 벌인 노력에도 중국 공장의 규모와 속도, 그리고 경우에 따라 품질을 그대로 옮겨오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9월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애플이 여전히 중국 의존도가 높다며 제품 생산의 95%를 중국이 차지한다고 전했다.
cool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