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印·日 수입액 60% 차지…해외 공급 감소 시 약 수급 타격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원료의약품 국내 자급도가 1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해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간한 '2023 식품의약품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2008년 21.7%에서 등락을 반복하다 2022년에는 절반을 좀 넘는 11.9%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원료 의약품 순생산액'(생산-수출)을 '국내 생산 규모'(생산-수출+수입)로 나눠 계산하므로, 자급도가 낮아졌다는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의료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수입액이 많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원료의약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은 수년간 원료의약품 수입액 1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그 규모도 2022년에 가장 컸다. 2019년 1조원(약 8억 달러) 수준에서 2020년 1조1천억원(8억3천만 달러)까지 증가했다가 2022년에는 1조2천억원(9억 달러)을 넘어섰다.
같은 해 수입액 2위는 인도(4천억원), 3위는 일본(3천억원)이었다. 중국, 인도, 일본의 원료의약품 수입액은 전체 수입액의 60%에 달한다.
가장 많이 수입된 원료의약품은 항혈소판제 클로피도그렐(863억원)이다. 그 뒤를 조현병 등에 쓰는 아리피프라졸(491억원)과 치매 치료제로 쓰는 콜린알포세레이트(440억원)가 이었다.약값 체계
이처럼 낮아진 자급도에 업계 관계자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연합뉴스에 "현재 약가 체계에서 국산 원료를 쓰면 이익이 적어 제약사들은 저렴한 중국, 일본, 인도 원료를 구입할 수밖에 없다"며 "국내 대형 제약사들이 자체 원료 회사들을 거느리고 있긴 하지만, 모회사가 아닌 다른 제약사에도 원료를 공급하기엔 가격 경쟁력이 약해서 생산 설비를 확장하거나 대량 생산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코로나19 시기처럼 해외 국가가 원료 공급량을 대폭 줄이면 보건의료 안보가 흔들릴 수 있다고 정 원장은 덧붙였다.
실제로 2021년 보건산업진흥원이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코로나19로 해외 원료 공급이 줄면서 제약사들의 80% 이상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국내 생산 원료를 사용한 의약품에 대한 약가 우대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해외 원료를 쓰다가 국산으로 변경하면 단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부의 약가 우대가 필요하다"며 "지난해 정부에 국산 원료의약품을 사용하는 제약사에 대한 약가 우대와 국산 원료의약품 개발 제약사에 세제 혜택을 지원하는 방안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최근 보건복지부도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국가필수의약품에 국산 원료를 사용하면 약가를 우대해주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구체적 방안과 시행 시점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 밖에 신약 개발 기업과 원료 제조사 간 R&D 협업 지원, 고부가가치 신약 원료의약품 생산·연구개발 지원 등이 해결책으로 꼽힌다.
hyun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