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에노스아이레스=연합뉴스) 김선정 통신원 = "국립대는 모든 이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며,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형성하는 국가의 기둥 같은 존재다"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대(UBA) 의대 앞에서 만난 이그나시오 히아이모(24, 의사)는 "정부의 국립대 예산 긴축에 항의하기 때문에 오늘 시위에 참여한다"면서 "예산 문제로 정상적인 대학 운영이 어려운 상태이며, 학생, 조교,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국립대를 지키기 위해 나섰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5년간 조교로 활동하면서 대부분의 국립대 조교들처럼 3년간을 무보수(Ad-honorem)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주 8시간 의대 조직학 조교로 일하면서 월 7만페소(약 10만원)를 받고 있다고 했다.
의대에서 만난 아드리안 힝딩 소아과 의사이자 생명윤리학 교수는 "40년간 이어온 민주주의 사회에서 국립대 존립에 의문을 갖는 것은 범죄"라면서 "40년 전에는 민주주의를 위해 거리에 나섰다면, 오늘은 국립대를 지키기 위해서 나왔다"라고 강조했다.
지난 12월 취임한 극우 자유경제학자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은 정부 재정 균형화를 주장하면서 강력한 예산 삭감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연간 물가상승률이 288%에 달하는 와중에서도 국립대 예산을 2023년 예산으로 동결했다.
이는 국립대 예산이 실질적으로 70% 삭감된 것을 의미한다. 국립대들로선 5월 말에는 모든 예산이 바닥을 드러내 문을 닫아야 하는 극단적인 상황에 쳐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국립대들은 비상 운영체제에 돌입한 상태다. 교수 및 행정직원 월급 지불은 밀렸고, 최대 500%까지 폭등한 전기세 납부가 여의치 않아 강의실을 제외한 구역에 대해선 소등이 이뤄지고 있다. 국립대 부속 병원의 수술도 40% 수준으로 축소했다.
밀레이 정부는 이날 예고된 시위에 앞서 국립대 예산을 70% 인상했다고 전날 급하게 발표했으나 성난 민심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현재 아르헨티나 전체 대학생의 80%인 2백만명이 국립대에서 무료로 공부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국민에 있어 국립대는 노벨 의학상 및 화학상 수상자 3명과 대부분의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배출한 자랑스러운 '지식의 전당'이자 신분 상승을 이룰 수 있는 '사다리'로 인식되고 있다.
시민들은 "교육은 권리이지 특권이 아니다", "민간의료보험, 전기세, 통신비, 식료품비가 올라도 참고 버텼지만, 무상 국립대까지 건드리는 건 참을 수 없다". "정부는 공교육을 말살하려고 한다", "사회 취약층이 신분 상승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국립대를 없애려는 건 막아야 한다" 등의 성토를 이어갔다.
이날 시위는 UBA 의대와 상경대 앞에 위치한 후세이 광장에서 오후 2시에 시작해 국회를 거쳐 대통령궁 앞인 5월 광장에 집결하기로 돼 있었다.
집회 시작에 앞서 UAB 의대와 상경대에서 도착하니 대학 앞은 수천 명의 학생, 교수, 행정직원들로 꽉 차 있었다.
경제학 4학년이라는 후안은 "밀레이 정권이 재정 균형화를 외치면서 각종 보조금을 삭감하는 것에 찬성하지만, 국립대처럼 국민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잘 운영되고 있는데 예산을 삭감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면서 "모든 이에게 평등한 고등교육의 기회를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회 앞에 도착하자 많은 인파로 옴짝달싹할 수 없게 돼 2시간이 넘게 한자리에서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이는 국회에서 5월 광장까지 1.9㎞ 구간이 사람으로 꽉 찼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는 15만명이 참여했다고 발표했으나, 주최 측은 수도인 부에노스아이레스에만 80여만명이 참여했다고 추산했다.
지난 1월 노조 총파업 때를 크게 웃도는 인파가 모였고 밀레이 취임 이후 최대 규모로 보인다.
이날 시위에는 주축을 이룬 국립대 대학생들 외에 아르헨티나 노조총연맹(CGT), 제1야당 조국을 위한 연합당, 급진개혁당(UCR), 사회당 등 정치권, 공교육과 국립대를 지지하는 노동자들, 시민들이 참여했다. 다만 밀레이 정부는 노조와 야당이 가세한 정치적 반정부 시위였다면서 평가절하했다.
고물가와 소비 하락으로 인한 극심한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밀레이 대통령은 최하 43%에서 최대 53%의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밀레이 정권은 '정부 재정 균형화(재정 흑자)는 협상할 수 없다'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sunniek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