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매니저, 美증시 낙관론 팽배…"2021년 11월 이후 최강"

입력 2024-06-19 09:12  

펀드매니저, 美증시 낙관론 팽배…"2021년 11월 이후 최강"
BofA, 6월 설문조사 결과…인플레보다 지정학·미 대선 우려 커져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의 투자 심리가 2021년 11월 이후 가장 강세라고 할 정도로 올해 중반 미국 뉴욕 증시에 대한 낙관론이 팽배하다.
이들은 경기침체를 거의 예상하지 않고 있으며, 주식에서도 대형 기술주 그룹인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Seven)에 많이 투자하고 있다. 보유한 현금 수준은 3년 새 최저 수준이다.
이런 내용은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증권이 18일(현지시간) 내놓은 '6월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조사'(FMS) 결과라고 미국 CNBC 방송이 보도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약 3분의 2, 즉 64%는 경제가 둔화하지만 경기 침체로 떨어지지 않는 연착륙 쪽에 서 있다.
반면, 경착륙 기대치는 5%에 그쳐 새로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응답자들은 여전히 매그니피센트 7에 깊이 발을 담그고 있으며, 이는 2020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또 응답자의 80%는 올해 최소 두 번, 혹은 그 이상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며, 첫 번째 인하는 9월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올해 하반기에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 또한 우려하고 있다. 여전히 가장 큰 걱정거리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현상)에 대한 두려움은 완화됐지만, 지정학적 위험과 미국 대선에 대한 우려는 더 커졌다.
응답자의 32%가 가장 큰 위험 요소로 인플레이션을 꼽았는데, 이는 지난 5월의 41%에 비해서는 감소했다.
반면, 응답자의 22%는 지정학적 위험을 꼽았는데, 전달에는 18%였다. 또 16%가 미국 대선을 선택해, 이 응답은 전달 9%에서 크게 늘었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낙관론을 반영하듯 실제 시장은 강세다.
이날 뉴욕증시는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다시 썼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7거래일 연속 상승할 정도로 거침이 없다.
BofA의 투자 전략가 마이클 하트넷은 보고서에 "6월 FMS 심리는 2021년 11월 이후 가장 강세"라며 "현금 수준, 주식 배분, 경제 성장 예측을 토대로 한 FMS 심리는 지난달 5.99에서 6.03으로 더 상승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부는 반전이 다가오고 있다며 우려한다.
가장 최근으로는 2021년 11월에 월가가 이번처럼 강세를 보였는데, 그해 S&P 500은 26% 이상 급등하며 한 해를 마감했다.
하지만 이듬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면서 지수는 19% 이상 폭락했고, 대형 기술주들도 조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cool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