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對미국 금융투자 8천억달러 돌파…'서학개미·IRA' 영향

입력 2024-06-25 12:00  

작년 對미국 금융투자 8천억달러 돌파…'서학개미·IRA' 영향
통계작성 이래 최대 잔액…지난해 1천138억달러↑·역대 2위 증가폭
對중국 금융투자 2년 연속↓…직접투자 여건 악화에 주가도 하락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미국 주식 투자 열기에 더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에 따른 국내 기업의 미국 내 직접 투자까지 늘면서 지난해 대미(對美) 금융투자 잔액이 8천억달러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25일 공개한 '2023년 지역·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준비자산을 제외한 우리나라 대외금융자산 잔액은 1조9천116억달러로 전년 말보다 1천244억달러 늘었다.
투자 지역별로는 미국(8천46억달러)에 대한 금융자산이 가장 많았고, 이어 EU(2천528억달러)·동남아(2천485억달러) 순이었다.

대미 금융자산 잔액은 2002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전체 대외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42.1%)도 최대 기록이다.
2022년 말과 비교해 대 미국·EU 금융자산은 각 1천138억달러, 103억달러 불었지만, 대 중국·중동·동남아는 91억달러, 42억달러, 40억달러씩 줄었다.
특히 대미 금융자산 증가 폭은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서학개미' 등의 영향으로 역대 두 번째로 컸다.
박성곤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대미 금융자산이 2019년 4천억달러, 2021년 6천억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 8천억달러를 웃돌았다"며 "금융자산 내 비중이 가장 큰 증권 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꾸준히 늘고 미국 주가 상승률도 상대적으로 높았을 뿐 아니라 IRA 등의 영향으로 삼성전자 등 대기업의 미국 내 해외공장 투자도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 중국·중동 금융자산 감소에 대해서는 "2년 연속 대중 금융자산이 줄어든 것은 중국 내 외국인 투자 여건이 나빠진 데다 중국 주가 하락, 대중 수출 부진 등의 결과"라며 "중동의 경우 국내 은행 계좌에 예치돼있던 이란 자금이 빠져 나간 영향"이라고 덧붙였다.

작년 말 우리나라 대외 금융부채 잔액은 1조5천214억달러로 1년 전보다 1천116억달러 늘었다.
미국(3천714억달러), 동남아(3천295억달러), EU(2천460억달러) 순으로 비중이 컸고, 국내 주가 상승 등에 따라 전년 말과 비교해 중동·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대 한국 투자(우리나라 입장에서 대외 금융부채) 잔액이 늘었다.
통화별 대외금융자산 잔액을 보면, 미국 달러화 표시 금융자산이 59.2%(1조1천315억달러)를 차지했고 유로화(1천857억달러·9.7%), 위안화(1천86억달러·5.7%)가 뒤를 이었다.
2022년 말보다 달러화(+978억달러), 유로화(+101억달러), 파운드화(+49억달러) 투자 잔액이 늘었지만, 위안화(-71억달러)는 감소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