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억이상 거래 중 61.7%는 강남3구…15억이상 거래서 중소형 60% 육박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5채 중 1채는 거래가가 15억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6채는 전용면적 85㎡ 이하로, 중소형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13일 부동산정보 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1∼5월 서울 아파트 매매 1만8천830건을 분석한 결과, 15억원 이상 거래는 전체의 19.9%에 해당하는 3천744건으로 집계됐다.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5채 중 1채는 15억원이 넘는다는 의미로,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비중 면에서 1∼5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2006∼2018년(1∼5월 기준)만 해도 서울에서 15억원 아파트 거래 비중은 10% 미만이었으며, 2019년 10.5%를 기록한 이래 2020년(6.2%)을 제외하고 줄곧 10%대를 유지했다.
2021년 16.6%, 2022년 18.1%, 2023년 17.4%를 각각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20%에 육박한 수준까지 커진 것이다.
또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6채는 '중소형'으로 분류되는 전용면적 85㎡ 이하로 나타났다.
15억원 이상 거래에서 85㎡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43.2%, 2021∼2022년 46.6%, 2023년 58.8% 등으로 계속 커지고 있다.
반대로 15억원 이상 거래 중 102㎡를 초과하는 '중대형'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50.2%, 2021년 48.2%, 2022년 48.9%, 지난해 34.2%, 올해 33%로 작아지는 추세다.
일반적으로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를 중소형으로, 102㎡ 초과∼135㎡ 이하를 중대형으로 분류한다.
한편, 지역별로 보면 15억원 이상 거래 3천744건 가운데 2천312건(61.7%)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에서 발생했으며, 그 중 강남구가 86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송파구 747건, 서초구 705건 순이었다.
올해 들어 15억원 이상 거래 비중이 늘어난 데 대해 부동산R114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고가 자산' 수요층인 자산가들의 경우 고금리 속에 오히려 유동성이 늘었다며 "이들이 아파트를 사들이기 시작하면서 15억원 이상 거래가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15억원 이상 대출을 규제한 과거와 달리 대출이 허용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서울의 신축 아파트 가격이 전체 평균(12억원대)보다 높다면서 "주 수요층인 30∼40대가 직주근접, 신축을 선호하다 보니 최근 시장에서 15억원 이상 거래가 활발하다"고 말했다.
[표] 2006∼2024년 서울 15억원 이상 아파트 매매량 및 비중 (단위:건)
┌─────┬───────┬───────────┬───────────┐
│ 연도 │ 매매거래량 │ 15억원 이상 거래량 │15억원 이상 거래 비중 │
├─────┼───────┼───────────┼───────────┤
│ 2006년 │ 36,407 │ 207 │ 0.6% │
├─────┼───────┼───────────┼───────────┤
│ 2007년 │ 20,445 │ 44 │ 0.2% │
├─────┼───────┼───────────┼───────────┤
│ 2008년 │ 32,644 │ 163 │ 0.5% │
├─────┼───────┼───────────┼───────────┤
│ 2009년 │ 29,331 │ 625 │ 2.1% │
├─────┼───────┼───────────┼───────────┤
│ 2010년 │ 17,362 │ 474 │ 2.7% │
├─────┼───────┼───────────┼───────────┤
│ 2011년 │ 26,387 │ 359 │ 1.4% │
├─────┼───────┼───────────┼───────────┤
│ 2012년 │ 17,642 │ 251 │ 1.4% │
├─────┼───────┼───────────┼───────────┤
│ 2013년 │ 27,445 │ 460 │ 1.7% │
├─────┼───────┼───────────┼───────────┤
│ 2014년 │ 34,367 │ 475 │ 1.4% │
├─────┼───────┼───────────┼───────────┤
│ 2015년 │ 57,031 │ 741 │ 1.3% │
├─────┼───────┼───────────┼───────────┤
│ 2016년 │ 40,608 │ 898 │ 2.2% │
├─────┼───────┼───────────┼───────────┤
│ 2017년 │ 42,310 │1,357 │ 3.2% │
├─────┼───────┼───────────┼───────────┤
│ 2018년 │ 40,405 │2,052 │ 5.1% │
├─────┼───────┼───────────┼───────────┤
│ 2019년 │ 12,895 │1,359 │10.5% │
├─────┼───────┼───────────┼───────────┤
│ 2020년 │ 28,549 │1,763 │ 6.2% │
├─────┼───────┼───────────┼───────────┤
│ 2021년 │ 22,633 │3,759 │16.6% │
├─────┼───────┼───────────┼───────────┤
│ 2022년 │7,244 │1,314 │18.1% │
├─────┼───────┼───────────┼───────────┤
│ 2023년 │ 14,016 │2,433 │17.4% │
├─────┼───────┼───────────┼───────────┤
│ 2024년 │ 18,830 │3,744 │19.9% │
└─────┴───────┴───────────┴───────────┘
※ 1∼5월 기준 [경제만랩 제공]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