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잡앤조이=이신후 인턴기자]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시행한 가운데, 채용 현장에서는 여전히 지원자의 학력사항을 여전히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인사담당자 74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3.4%가 ‘인재 채용 시 지원자의 학력사항을 확인한다’고 답했다. ‘확인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6.6%에 그쳤다. 5명 중 4명의 인사담당자가 지원자의 학력을 확인하는 셈이다.
이 같은 결과는 지원자의 최종 학력이 실제 업무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인사담당자에게 ‘직원의 최종 학력이 실제 업무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가’를 묻자, 58.7%가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고 대답했다. ‘매우 영향이 있다’는 응답도 9.5%에 이르렀다. 반면 ‘별로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27.1%, ‘전혀 영향이 없다’는 4.7%를 차지했다.
또한, 최종 학력이 업무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인사담당자일수록 학력사항을 확인하는 비중이 높았다. ‘매우 영향이 있다’와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고 답한 인사담당자 그룹에서 학력사항을 확인하는 비중은 각각 97.2%, 93.6%로 매우 높았던 반면, ‘별로 영향이 없다’고 답한 인사담당자 그룹에서는 62.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전혀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인사담당자 그룹에서도 절반을 못 미치는 48.6%가 ‘학력사항을 확인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인사담당자들이 학력사항을 확인하는 이유 중 ‘지원자의 학교생활 및 삶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어서(25.7%)’와 ‘직무를 수행하는 데 더 유리한 과목이나 전공이 있어서(22.2%)’를 각각 1, 2위로 꼽았다. 또 ‘비슷한 지원자 중 변별력이 없을 때 최종 판단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해서(15.8%)’, ‘직무수행을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나 전공이 있어서(14.8%)’, ‘학력이나 스펙이 뛰어난 지원자가 일도 더 잘할 거라는 기대가 있어서(9.0%)’ 등도 학력을 확인하는 주요 이유로 꼽혔다.
주로 확인하는 학력사항은 ‘최종학력’이 75.4%의 응답률을 얻어 1위에 올랐다. 2위는 72.0%의 높은 응답률을 얻은 ‘전공 분야’였다. 이어 출신학교 및 소재지(42.9%), 전체 학점·평점(37.0%), 입학·졸업 시기 및 졸업에 걸린 시간(18.3%), 특정 과목 수강·이수 여부(12.7%), 특정 과목 학점(12.2%)도 확인한다고 답했다.
지원자의 학력사항을 확인하지 않는다고 밝힌 인사담당자 중 31.5%는 ‘지원자의 학력, 출신학교가 업무능력과 무관하다고 생각해서’를 꼽았다. ‘학력보다는 인성, 실무 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29.0%)’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또 ‘능력 있는 지원자를 학력이라는 선입견에 놓칠까봐(16.9%)’가 3위, ‘학력 및 출신학교에 따른 차별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서(10.5%)’가 4위에 올랐다. ‘별로 중요한 항목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서(6.5%)’, ‘회사의 채용 정책으로 인해서(3.2%)’, ‘학력을 보고 뽑았던 직원에게 실망했던 경험, 전례가 있어서(2.4%)’ 등의 응답도 이어졌다.
한편 7월초 잡코리아가 인사담당자 418명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대한 의향’을 조사한 데 따르면, 인사담당자 80.9%가 ‘학력, 스펙 등 차별적 판단요소를 배제하는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한 바 있다.
sinoo@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