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시설 10곳 가운데 3곳 환경안전기준 초과

입력 2013-01-02 16:14   수정 2013-01-02 17:48

지은지 4년이 넘은 어린이 시설 10곳 가운데 3곳에서 중금속 등이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009년 이전에 지어진 유치원, 초등학교 등 어린이 시설에 대해 환경안전 진단을 실시한 결과 1000곳 가운데 322곳에서 환경안전관리기준을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발견됐다고 2일 발표했다. 2009년 이전에 지어진 곳은 유해물질 사용을 어린이 특성에 맞도록 제한·처벌하는 환경안전보건법의 적용이 유예돼 있다.

가장 개선이 시급한 항목은 중금속이었다. 페인트 등 칠감이나 마감재에서 기준치 넘는 중금속이 나온 시설이 243곳(34.7%)이었다. 이 가운데 납의 기준초과 비율이 9.5%로 가장 높아 별도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고무 바닥재에서 중금속이 나온 곳도 30곳(8.1%) 있었으며 이 가운데 납의 기준초과 비율이 1.2%로 가장 높았다. 어린이가 납에 장기간 노출되면 뇌나 신경계가 손상돼 행동 및 학습장애, 청력장애, 빈혈 등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칠감이나 마감재가 벗겨져 흩날리는 곳에서 인체에 들어갈 확률이 높아진다.

진단 대상 시설 가운데 57곳(8.1%)의 목재에서는 사용 금지 방부제인 ‘CCA’가 나왔다. CAA에는 크롬 구리 비소가 포함돼 있으며 이 가운데 크롬은 고도로 노출되면 유전자 변형까지 일으킬 수 있다. 모래 등이 있는 어린이 놀이터 477곳에 대해서는 기생충 알을 검사해 이 가운데 66곳에서 검출했다. 토양선충 등의 알은 어린이의 손을 통해 소화기관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설사를 유발한다.

환경부는 이번 진단에서 폼알데하이드 등 발암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방출시험 방법에 문제가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