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엔·달러 환율의 반등세는 구조적인 환경의 변화보다는 모멘텀 플레이의 영역"이라며 "1990년부터 BOJ의 유동성 공급은 지속돼 왔지만 장기적인 디레버리징 현상이 이를 압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장기 국채 금리 상승 시 발생할 막대한 자본손실과 디레버리징 강화 가능성을 감안하면, BOJ의 국채비중 확대는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이다.
전 연구원은 "만약 국가부채 비중이 낮았던 과거였다면 공격적인 유동성 공급에 따른 자산효과가 일본 경기의 회복을 견인했을 수도 있다"면서 국가부채 비중이 높은 상황(은행들의총 자산 중 25%)에서는 유동성 확대가 회의적이라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벤 버냉키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BOJ 총재가 되더라도 엔화 약세 전환과 경기회복은 매우 어려운 문제일 것"이라며 "일본 경제는 공격적인 유동성 공급보다는 구조조정 및 부채조정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논란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