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제 한도는 월세의 40%로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공제, 주택마련저축 공제를 합해 300만원까지다.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임차 건물과 주민등록 주소지가 같도록 전입신고가 돼 있어야 한다. 보증금을 지급한 경우에는 주소지 주민센터나 법원에서 임대차계약 증명서에 확정일자도 받아야 한다.
흔히 월세 계약을 한 뒤 갱신하지 않고 계속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처럼 서류상 계약이 끝난 경우에도 월세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소득공제 시 임대차계약서를 제출해야 하는데 갱신하지 않아 계약서상으로 더 이상 세입자가 아니더라도 실제 거주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소득공제가 된다.
이 같은 경우 소득공제 때문에 집주인을 찾아 계약서를 다시 쓸 필요는 없다. 주민등록등본상 주소가 계속 유지되고 있고 매달 월세를 낸 입금영수증만 있으면 갱신하지 않은 계약서도 문제가 없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논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