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런 대책으로는 저축은행 업계가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금융당국이 검토 중인 대책은 사실 그렇게 새로운 것도, 획기적인 것도 아니다. 수신한도 제한은 2006년까지 시행하다 중단한 것이고 LTV 규제는 지금도 지도비율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핵심이라고 할 만한 것이 사금고화를 막기 위한 대주주 지분 제한이라고 하겠지만 은행에 이어 저축은행까지 주인 없는 회사를 만드는 게 바람직한지는 실로 의문이다. 그런 면에서 금융당국이 마련하고 있다는 저축은행 경영개선안은 책상 위에서 적당히 만들어낸 대증요법 같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하지만 저축은행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당국은 지금 사태가 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때문이고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면 해결될 수 있다고 믿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금융산업에 대한 정부의 철학 부재에 있는 것이다. 그동안 역대 정권들은 금융산업 전반에 대한 큰 그림 없이, 그때그때 정치적 필요에 의해 저축은행 정책을 펴왔다. 지금의 부실은 바로 그 결과일 뿐이다. 금융산업은 리스크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업권이 분할돼 있는 산업이다. 저축은행 제도개선은 저축은행을 서민금융이라는 본래의 위상에 걸맞은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기본이다. 은행 흉내를 내게 하는 것도 문제지만 무턱대고 주인을 없애는 것도 옳은 대안은 아니다. 저축은행까지 주인 없는 회사로 만들 참인가.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배기성, 음식 사업망하고 '폭탄 고백'
▶ 연예계 성스캔들 '술렁'…女배우 누군가 봤더니
▶ NRG '노유민' 커피전문점 오픈 6개월 만에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