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인 전망만 끌어모아 일부러 상향 조정 논리를 만든 듯합니다.” LG상사의 신용등급 상향 조정을 두고 시장에서 이 같은 뒷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는 오는 28일 회사채 발행을 앞두고 있는 LG상사 신용등급을 지난 13일과 14일 잇따라 올렸다. A+에서 AA-로 한 단계 조정했지만 의미는 크다. AA급이라는 건 명실상부한 우량 기업을 뜻하기 때문이다.
LG상사의 재무구조가 좋아지고 있다는 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시장 참여자들이 문제삼는 건 조정 시점과 그 근거다. 작년 결산실적이 확정되지 않았는데도 신용등급을 올린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다. 신용평가사가 공통적인 조정 근거로 내세운 해외 자원개발 사업의 실적 전망에도 고개를 갸웃거린다. 해외 자원개발 사업은 실적 변동성이 크고 불확실성이 높다. 그런데도 위험 요인에 대한 평가는 뒤로한 채 이익 확대 가능성에만 초점을 맞췄다는 지적이다.
신용평가사가 서둘러 신용등급을 올린 이유는 따로 있다. 기업으로선 회사채 발행 전에 신용등급이 올라야 조달비용을 낮출 수 있어서다. LG상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회사채 발행 시점에 맞춰 기업들이 암묵적으로 신용평가사에 압력을 행사하고, 신용평가사는 그에 맞춰 신용등급을 올려준다는 얘기가 끊이지 않아 왔다.
신용평가사가 오래 고민하고 신용등급 상향 조정 시점을 결정한 게 아니다 보니 궁색한 논리가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룹의 지원 가능성’이나 ‘사업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게 단골 메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신용평가사들은 과감한 조정으로 신용등급의 거품을 뺄 기회를 스스로 놓쳤다. 오히려 위기가 완화되는 과정에서 상향 조정을 남발했다. 신용등급을 올리는 건 쉽지만, 내리는 건 어렵다. 기업의 반발뿐 아니라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신용등급 상향 조정은 더욱 신중해야 한다.
기업이 수수료를 부담한다는 이유만으로 신용등급 상향 조정을 남발하는 건 곤란하다.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신용평가 시장 선진화’도 신용평가사의 자정 노력 없이는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시장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평가가 반복되면 신용등급의 신뢰성은 떨어진다. 신용등급의 가치는 신용평가사 스스로 지켜야 한다.
김은정 증권부 기자 kej@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NRG '노유민' 커피전문점 오픈 6개월 만에
▶ 임윤택 꾀병 몰아간 '일베'의 실체가…깜짝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