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국정 비전을 포함한 로드맵이 발표됐다. 첫 번째 국정목표가 ‘일자리 중심 창조경제’ 구현이다. 핵심은 기술과 인력을 기반으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자는 것이고, 그 중심에는 중소기업이 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평가한 2012년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전년과 같은 22위를 기록했다. 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반영하는 기업 효율성 부문은 작년보다 한 단계 상승한 25위를 차지하는 등 그동안 기업과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중소기업 생산성 부문은 전체 59개국 중 51위로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생산성본부에서는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과 생산성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단기적 효과보다는 장기적인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무딘 도끼로는 큰 나무를 베지 못한다’는 속담처럼 기업의 생산성 극대화를 위해서는 연구·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사실 외환위기 이후 국내 중소기업들은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꺼리고 있다. 이는 연구·개발이 단기간 성과나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구글, 페이스북 등 미국의 많은 기업들이 중소기업으로 시작해서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단기간 중견기업 단계를 거쳐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대표기업으로 성장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올해부터 정부에서는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창업 초기기업부터 중소·중견기업까지, 성장단계에 맞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창조형 중소기업 창출을 위해 교육, 세제 지원, 글로벌 마케팅 지원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같은 정부의 일련의 정책과 기업들의 노력이 융합해 우리 중소기업이 이제는 성장을 넘어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우뚝 서고 그 역할을 수행해 나가길 기대해 본다.
양봉환 <중소기업청 기술혁신국장>
▶ 싸이, 대통령 취임식 '돌출발언' 깜짝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은지원 이 정도였어? 朴 취임식때…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 소유진 남편, 700억 매출 이젠 어쩌나? '쇼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