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는 지난해 0~2세 무상보육을 실시했을 때에도 불과 6개월 만에 예산이 동나 서울시에 긴급 지원을 요청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보육 예산을 매칭방식으로 분담하는 상황에서 부자 구인 서초구마저 이런 지경이라면 다른 지자체들의 사정도 별반 다를 것이 없을 것이다. 이는 전면 무상보육을 실시한다고 했을 초기부터 이미 예견된 사태다. 올해 전국 시·군·구의 무상보육 예산은 8조419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5%나 늘어났다. 이 가운데 지자체 부담금은 44%다. 지난해 수준으로 예산을 짠 지자체들은 7710억원의 추가부담을 안게 된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지자체에서 무상보육을 하지 못하겠다는 하소연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지자체장들이 지난 1월 당선인 신분이던 박근혜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무상보육에 대한 국고지원을 강력 촉구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지자체 예산이 모자라는 상황에서 부유층 자녀나 여유가 있는 가정에까지 보육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느냐는 소리가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더구나 지난달 4일 보육료와 양육수당 신청이 시작되자마자 모든 접수창구가 사실상 마비될 만큼 한꺼번에 몰려들었을 정도다. 복지는 공급이 많아질수록 수요가 더 많아지는 특이한 수요곡선을 갖고 있다.
물론 지자체 예산이 동났다는 이번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여야 정치권이다. 무분별하게 내걸었던 복지 포퓰리즘이 하나둘씩 그 폐해를 드러내고 있는 중이다. 무상급식도 그렇고 무상보육도 다를 것이 없다. 국민을 천국으로 모신다는 정치권의 공수표가 너무 빨리 종착역에 도착하는 모양새다.
▶ 女교수, 딸에게 '콘돔' 주면서 하는 말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