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사정은 기금 얘기가 나왔던 때부터 우려됐던 상황이다. 정부가 부채를 50%(기초생활수급자는 70%)까지 갚아준다니 서둘러 빚을 갚을 채무자가 없고, 일단 대출을 쓰고 보자는 심리도 생길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달 출범할 기금의 가이드라인이 여태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부채가 1억원 이하인 다중채무자로서 6개월 이상 연체자를 지원한다는 방침 정도만 정해졌을 뿐, 당장 언제부터 적용되는지도 미정이다. 새 정부 출범일인 올 2월25일을 기준일로 삼기로 윤곽이 정해졌다면 그것이라도 빨리 확정해 공지해야 할 것이다. 대상자가 322만명이니 240만명이니 하며 아직도 엇갈린다.
기금을 어떻게 지원해도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 실현되지 못할 기대를 갖지 않게 하려면 가이드라인부터 빨리 만들어야 한다. 가뜩이나 기존 서민금융의 연체율이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회사의 모럴해저드를 막기 위해서라도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행복기금이 단순히 빚을 갚아주는 게 아니라, 신용회복을 통해 다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란 취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 신용사회가 무너지는 소리가 들린다.
▶[한경 스타워즈] 대회 개막 1달만에 7000만원 수익! 비결은?
▶ 개그우먼 배연정, '국밥' 팔아 하루 버는 돈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