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깨달은 동반성장 법칙
글로벌 1위 오래한 사업이 1등 협력사 더 많이 키워내
‘93 대 35’
지난해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와 반도체사업부의 매출 차이다. 영업이익 격차는 19 대 4다. 야구로 치면 콜드게임 스코어다. 두 사업부의 협력업체 실적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는 지난달 뽑은 ‘글로벌 강소기업’ 성적표에서도 비슷한 패턴을 보이리라 생각했다. 뚜껑을 열어보니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결과는 1 대 10. 반도체사업부의 압승이었다.
무선사업부의 협력사 중 강소기업으로 선정된 업체는 부전전자가 유일했다. 프린팅솔루션사업부와 동률로 2개 강소기업을 배출한 TV사업 부문에도 못 미쳤다. TV를 만드는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무선사업부의 10% 정도인 2조원대다.
강소기업 성적표만 보자면 삼성전자 내 서열은 반도체>TV>휴대폰=프린터다.
왜 그럴까. 최병석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은 “글로벌 1등 효과”라고 했다. ‘세계 1위에 오른 역사가 얼마나 오래됐나’가 강소기업 운명을 갈랐다는 얘기다. 최 부사장 말대로라면 1993년부터 20년째 세계를 제패하고 있는 삼성 메모리반도체사업부가 강소기업 우승을 싹쓸이하는 건 ‘사필귀정’이었다. 2006년부터 7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TV사업이 그 뒤를 이은 것도 당연한 결과였다.
이에 비해 삼성 휴대폰의 글로벌 우승 역사는 2년에 불과하다. 휴대폰 사업이 삼성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어도 강소기업 선수권에서는 아직 갈 길이 먼 셈이다.
공교롭게도 반도체사업과 휴대폰사업의 우승 횟수는 강소기업 수와 정확히 일치했다. 20년째 세계를 제패한 반도체사업부의 강소기업 수는 10개. 2년 연속 세계 1위인 무선사업부의 강소기업 수는 10분의 1 수준인 1개다.
삼성전자는 14개 글로벌 강소기업을 선정하면서 ‘협력업체의 글로벌 경쟁력은 거래 대기업의 세계 1위 역사에 비례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최 부사장은 이를 ‘신(新) 낙수효과’라고 표현했다.
최 부사장은 “대기업이 잘되면 협력업체의 고용과 투자를 늘린다는 게 일반적인 낙수효과의 의미라면 대기업이 글로벌 1위를 오래하면 오래할수록 세계 1등 협력사를 더 많이 키운다는 것도 새로운 낙수효과로 얘기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 이봉원, 손 대는 사업마다 줄줄이 망하더니
▶ 女직장인 "밤만 되면 자꾸 남편을…" 고백
▶ 고영욱, '화학적 거세'는 안심했는데 '덜덜'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