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경매제도에 대한 농식품부의 비판도 이해하기 어렵다. ‘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 변동성을 높이는 단점이 있다’는 지적은 옳은 말이지만 가격 변동성 자체를 백안시한다면 공정가격제나 고시가격이라도 도입하겠다는 것인지. 수요자와 공급자 간 치열한 공방에 의해 결정된 가격은 그 자체로 가장 중요한 상품 정보이며 농업인들은 그 정보를 기초로 생산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농식품부는 전통 도매시장의 비중을 줄이고 생산자 단체의 판매 비중을 늘리겠다고도 했다. 이 또한 시장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한 것이다. 유통이야말로 전문적 영역이요 서비스 산업의 본령이다. 지금 한국 농업은 산업으로 가느냐 아니냐의 갈림길에 놓여 있다. 이미 고수익작물과 영농 기법들이 창의적인 농업 경영자에 의해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스스로 판로를 개척하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것이 바로 창조 농업이다. 지금 정부가 할 일은 창조 농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미 정부의 무리한 시장 개입이 화를 자초하는 사례는 무수히 경험한 터다. 농식품부는 농업을 통제가격에 묶어 두자는 것인가.
▶ 유부女, 성폭행 당해도 말 못한 이유가…충격
▶ '방송사고' 손진영, 지나 가슴에 손을…헉!
▶ "MB정부 사기극 밝혀졌다" 교수들 폭탄 발언
▶ 유퉁, 33살 연하女와 7번째 결혼하려다 그만
▶ "돈 있으면 다 돼" 청담女, 이런 짓까지…경악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