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갈등은 무상보육을 확대할 때부터 예견됐던 일이다. 특히 올해부터 0~5세 전면 무상보육이 시행되자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서울시만 해도 올해 무상보육을 위한 소요재원이 1조656억원에 이른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편성된 예산은 6948억원에 불과하다. 부족분이 무려 3708억원이다. 작년에는 서초구 등 일부 자치구가 위기를 겪었지만 이번에는 전 자치구가 위기로 내몰린 것이다. 다른 지자체도 마찬가지다. 경기도는 무상보육 중단이 우려되고, 나머지 지자체도 미확보 예산이 수백억원씩에 달해 곤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급기야 복지부와 전국시도지사협의회는 성명전 공방까지 벌였다. 복지부는 무상보육 중단 위기가 지자체 책임이라고 비난하고, 시도지사들은 이에 반박하는 상황이다.
궁금한 것은 그 많던 무상보육 지지자들은 다 어디 가고 이제와서 책임 공방인가 말이다. 무상보육을 무작정 확대한 건 바로 단체장과 정치인들이었다. 여야가 서로 무상복지 경쟁까지 벌이지 않았나. 지자체가 무상보육에 쓸 돈이 부족하다고 하자 국고 비율을 50%에서 70%(서울시 20→40%)로 상향 조정하는 영유아보육법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한 것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다. 지자체장들도 뻔뻔하다. 공짜 복지공약으로 표를 달라고 할 때는 언제고 이제와서 사돈 남 말 하듯 한다. 중앙정부더러 다 책임지라고 할 바엔 지방자치는 뭐 하려 하나.
▶ 잘 나가는 의사, 밤마다 '일탈' 즐기더니 결국
▶ '성노예' 10대女 임신 막으려 피임약 먹이고는
▶ 女승무원과 성관계 후…반전 결과에 '경악'
▶ "장윤정에 보복할 것" 폭탄 발언…가족 맞아?
▶ 박시연, 임신 도중 충격 사실이…발칵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