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도 2002년 ‘하르츠개혁’의 시동을 건 뒤 5년 만에 고용률 70%를 달성한 사례다. 당시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가 임명한 페터 하르츠 폭스바겐 회장은 노·사·정이 모인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경제 체질을 완전히 바꾸는 개혁에 나섰다. 이 위원회에서 나온 방안대로 독일 정부는 파견근로와 계약직 사용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등 노동시장 유연화에 나섰다. 그 결과 2003년 64.6%였던 독일 고용률은 2008년 70.2%까지 높아졌다.
정부가 추진해 노·사·정이 지난달 내놓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노·사·정 일자리협약’도 이들 선진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한 결과로 보인다. 고용률이 오르기 시작한 뒤로 70%를 넘는 데 걸린 기간이 ‘5년’이어서 정권의 임기와 맞아떨어진다는 점도 있다.
그러나 이런 선진국의 사례를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최영기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독일은 하르츠개혁 이전부터 오랫동안 노·사·정 타협을 적극적으로 시도했고 네덜란드도 1994년부터 고용률이 올라갔지만 그 이전 10년 동안 쌓인 사회적 합의의 노력이 있었다”고 말했다. 최 연구위원은 “정부가 생각하듯이 하루아침에 달성한 게 아니다”고 덧붙였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 잘 나가는 의사, 밤마다 '일탈' 즐기더니 결국
▶ '성노예' 10대女 임신 막으려 피임약 먹이고는
▶ 女승무원과 성관계 후…반전 결과에 '경악'
▶ "장윤정에 보복할 것" 폭탄 발언…가족 맞아?
▶ 박시연, 임신 도중 충격 사실이…발칵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