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제품과 서비스의 원가를 낮추기 위해 부단히 노력는 것은 기업의 본령이다. 조금이라도 싼 비용으로 더 나은 제품을 만드는 게 기업 발전이고 혁신이며 소비자에겐 더 큰 만족을 준다. 모든 기업이 이런 식으로 비용절감에 나서면서 보다 싼 납품조달을 모색한다. 원청업체와 1차 협력업체, 1차에서 2, 3차로 다시 이어지는 산업 생태계는 그 자체로 시장이다. 가격 인하든 그 반대든, 이런 기업 간 거래는 모두 시장가격 메커니즘의 일부일 뿐이다.
정부의 섣부른 개입을 경계하는 이유다. 그런데도 부당단가 후려치기를 예방한다며 정부가 이 과정에 직접 개입해 ‘부당’ 여부를 판단하고 잘못되면 응징하겠다는 것이다. 더욱이 입찰에서부터 납품가 결정, 변경 요구, 협상과 합의, 계약이행 과정까지 협력사와 거래내역을 전자시스템(ERP)으로 보관토록 하겠다니 영업 비밀까지 모두 내놓으라고 할 참인가. 이렇게 대기업을 옥죄다 납품처를 아예 해외로 돌리기라도 한다면 보호하겠다는 중소기업들은 어떻게 되나.
정부는 올 하반기 중 하도급법에 ‘부당특약’ 금지규정을 담고 그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마련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부당 단가’를 누가 판정할 것이며, 그 기준은 무엇인가. 이것부터가 대단히 어려운 문제다. 부당한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한 제재는 이미 하도급법에서 정하고 있는 7개 유형에 대한 처벌로도 충분하다. 유행처럼 을을 지키겠다고 나섰다가 교각살우의 우를 범할 수 있다.
▶ 소녀시대 수영, 생방송 중 노출사고 '아찔'
▶ 장근석, 85억 빌딩 매입한지 3년 만에…
▶ '월세' 사는 박완규, 행사 수입 어디에 썼길래
▶ 배우 임영규, 165억 날리더니 '막장 생활?'
▶ 女직원들, 짧은 치마입고 아침마다…'민망'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