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스마트폰이 위험하다] '이벤트 당첨' 터치했을 뿐인데…내 폰 주소록·사진이 술술~

입력 2013-06-21 17:18   수정 2013-06-22 03:35

5大 스마트폰 보안 위협


“스마트폰 안에 있는 다양한 개인정보를 이용해 무수한 ‘신종 범죄’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해커 출신으로 보안업체 ‘에스이웍스’를 운영하고 있는 홍민표 대표는 2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공인인증서를 손에 넣으면 결제에 활용할 수 있고, 주소록과 사진 정보를 얻으면 지인에게 알리겠다고 협박해 금품 갈취를 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공격자들은 스마트폰의 취약점 분석과 공격을 자동화하는 등 지능화된 해킹 수법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이 쉽게 넘어갈 만큼 사기 수법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 대표가 소개하는 스마트폰의 5대 보안 위협을 소개한다.

① "알몸 영상 유포하겠다" 협박

화상채팅을 권하는 문자를 받은 A씨는 첨부된 링크를 통해 모바일 앱을 깔았다. 앱을 켜자 미모의 여성이 등장하고 음란한 대화와 행위가 오고 간다. 며칠 뒤 A씨는 “돈을 입금하지 않으면 지인들에게 알몸 영상을 뿌리겠다”는 협박성 문자를 받는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꽃뱀 앱’에 걸려든 것이다. 신뢰할 수 없는 앱을 함부로 내려받은 게 문제였다. 이 앱엔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빼내는 악성코드가 담겨 있었다. A씨는 화상채팅이 이뤄진 영상은 물론 전화번호부까지 통째로 해킹당한 것이다.


②해킹 전문 '사이버 흥신소'도 등장

마이크와 위치센서가 달려 있는 스마트폰은 훌륭한 도청과 추적장치로 변할 수 있다. 미리 악성 앱을 설치해놓고 문자메시지를 통해 자유자재로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켰다 끌 수 있다. 예컨대 ‘1588’이란 숫자로 문자메시지가 도착하면 마이크가 켜지고, ‘5555’라는 숫자로 마이크를 꺼지게 할 수 있다. ‘1588-5000 24시간 대리운전’ 같은 문자가 오면 마이크가 켜지고 도청이 시작된다. 위성합법장치(GPS) 같은 위치센서를 동작시켜 위치 정보를 빼내 올 수도 있다. 이 같은 ‘사이버 흥신소’는 이미 미국에 등장해 배우자나 애인을 뒷조사하는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수법이 등장했다가 경찰에 붙잡힌 사례가 있다.

③'짝퉁 앱' 통해 개인정보 유출

앱 장터에 정식으로 올라온 모바일 앱을 똑같이 베낀 뒤 악성코드를 심어 다시 장터에 올리는 ‘악성 복제 앱’도 문제가 심각하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는 공개된 OS이기 때문에 ‘개발 소스코드’를 열람하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쉽게 알 수 있다.

홍 대표는 “국내 인기 앱 중에는 4시간 만에 디자인을 베낄 수 있는 것도 있다”며 “중국 등에는 거액의 펀딩을 받아 한국 모바일 앱을 그대로 베끼는 회사가 많다”고 말했다. 이처럼 똑같이 생긴 앱에 악성코드가 심어지면 이용자가 정식 앱을 내려받았다고 착각하는 사이 개인정보가 유출된다.


④근접무선통신(NFC) 해킹

스마트폰을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대용으로 쓸 수 있는 NFC 기능은 편리한 만큼 해킹에 취약하다. 지난해 말 해외에서 열린 해킹경진대회에서 국내 신형 스마트폰이 해킹을 당한 것도 NFC 기능 때문이었다. 이 기능을 통해 침입한 악성코드가 문서 파일을 읽는 ‘뷰어’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공격한 것. 홍 대표는 “사전 탑재된 이 문서파일 뷰어는 공교롭게도 이메일, 문자메시지, 주소록 등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며 “NFC를 통한 해킹은 해커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⑤'○○○님 청첩장이 도착했습니다' 클릭 위험

음란한 화상채팅에는 관심이 없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개인정보를 빼내오는 앱은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모바일 청첩장이 대표적이다. 청첩장이 도착했다는 문자에 적힌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는 순간 악성 앱이 사용자 모르게 깔릴 수 있다. 투명한 아이콘으로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고, 애니팡이나 윈드러너 등 인기 앱의 아이콘으로 위장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피해자의 실명을 거론하며 ‘OOO님 청첩장이 도착했습니다’라는 식으로 지능화하고 있기도 하다. 청첩장 외에도 친구의 이름으로 ‘OOO야 지금 통화 안 되니? 이걸로 대화하자’며 메신저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데이터 사용량이 초과했다’며 통신사로 위장하기도 한다. 잘못 눌렀다가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통화기록, 문자메시지, 위치정보, 사진 등 개인정보가 모르는 새 새어나갈 수 있다.

김보영/임근호 기자 wing@hankyung.com

스마트폰 해킹, 이렇게 막자

1. 보안 프로그램을 반드시 설치해라
2. 출처가 불분명한 앱은 깔리지 않도록 스마트폰을 설정해라
3. ‘공짜’ ‘이벤트 당첨’ 등 문자에 붙어온 앱은 깔지 마라
4.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링크는 접속하지 마라
5.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PC에도 백신을 설치해라
6.블루투스 등 무선 인터페이스는 사용할 때만 켜놓아라
7. 소액 결제는 한도를 설정해라





▶ [당신의 스마트폰이 위험하다] 보안앱 활성화하고 출처 불분명한 앱 깔지 마세요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