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후죽순’, 2013년 대한민국의 커피 전문점은 그야말로 범람하고 있다.직장인 및 유동 인구가 많이 몰리는 대로변뿐 아니라 다소 외진 곳 이라도 호젓한 곳에는 예외가 없이 위치한 것이 바로 커피 전문점.
외식 업계의 동향에 따르면 최근에는 다소 주춤한 면이 없지 않은 커피 전문점 시장이지만 퇴직과 은퇴 후 가장 선호하는 창업 분야도 바로 이 ‘커피 전문점’ 시장이다. 그러나 일부 외국계 커피 브랜드들의 높은 로열티와 점포 개설 비용은 다소 부담되는 것이 사실.
또한, 대형 커피 프랜차이즈의 횡포 아닌 횡포도 일반 개인 창업자 입장에서는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치킨, 커피 전문점은 물론 이른바 ‘브랜드’라고 하는 프랜차이즈의 ‘갑’의 횡포 또한 공공연하게 진행되어 왔다.
‘포트오브모카(Port of Mocha)’는 외국계 브랜드와 대형 브랜드가 판치는 커피 전문점 시장에 혈혈단신 출사표를 던진, 순수 국내 브랜드이다. 현재 국내에는 약 10여 개의 점포가 운영되고 있지만 브랜드 런칭이 1년여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과 대규모 홍보 없이 입 소문 만으로 가맹이 이뤄 졌다는 점에서는 상당히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포트오브모카의 심상진대표는 “처음부터 프랜차이즈를 계획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좋아하는 커피를 함께 나누고 싶었을 뿐이었는데, 어느 날 보니 매장 고객들에게 제가 번호표를 나눠 드리고있더라니까요”라며 창업 이래를 회상했다.
답답한 서울을 벗어나 고향인 안성으로 내려왔다는 그는 “업무 특성상 하루에도 10잔씩 마실 수밖에 없었던 커피가 지금의 까다로운 미각을 갖게 했다”고 전했다. 또한, 최근의 프랜차이즈, 본점들의 횡포에 대해서는“본사와 가맹점은 동등한 눈높이를 가져야죠. 종주의 관계, 갑과 을의 관계가 아닌 ‘파트너쉽’이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저는 제가 직접 운영 매장을 찾아가 인사도 드리고 운영 전반에 관한 지속적인 노하우를 전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라며 애착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번은 경기 외곽 주택가에 점포를 개설하고 싶다고 찾아오신 건물주가 계셨어요. 상권이 형성된 도로변에는 이름만 대면 아시는 전국 브랜드 커피 전문점이 다섯 곳이 더 있었고, 너무 외진 곳이라 처음에는 저희도 반대했었는데 워낙 의지가 강건하셔서 우여곡절 끝에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상권 분석조차 할 수 없을 만큼 외진 곳 이라서 수익이 신통치 않을 것 같다는 당초의 예상과는 다르게 좋은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좋지 않은 상권 있는데도 꾸준히 찾아오시는 고객들로 매월 매출이 상승하는 것을 보며 저희 브랜드의 경쟁력을 더욱 확신하게 된 거죠.”
또한,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커피 프랜차이즈 창업 시 3~5억 원 정도 비용이 소모되는데 그 정도 비용이면 저희 매장을 3~5개 개설할 수 있습니다. 1억 원 안팎으로 창업 하시라는 말이죠.”
저렴한 창업비용의 이면에는 그간 심 대표가 쌓아 온 노하우가 집약돼 있다. 발품과 손품은 물론 상권 입지 분석도 직접 이뤄 지며, 비용으로 처리되는 모든 루트를 직접 관리 함으로써 창업주들의 비용 손실도 최소화했다.
“말로만 말씀 드릴 수밖에 없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말로는 해도 별도 따다 줄 것같이 말하지만, 대부분의 실상은 터무니없는 예상 매출 부풀리기 등 감언이설이 많습니다. 외국계 브랜드와 중소형 브랜드가 난립하는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방법은 ‘본사 몸집 불리기 보다는 가맹점이 잘 되야 본사가 산다’는 생각으로 가맹점 관리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경쟁력이고, 그것을 알아주는 창업주에게 성공의 열쇠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