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서비스업을 역차별하는 세제, 금융, 전기료 등을 개선하겠다는 방침은 환영할 일이다. 특히 제조업은 300인 이하면 중소기업으로 분류해 온갖 혜택을 주면서 서비스업은 100~200인으로 차별한 것은 대표적인 ‘손톱 밑 가시’다. 하지만 이런 서비스업 홀대 문제가 제기된 게 언제인데 이제와서 또다시 대책이라고 재탕하니 그동안 뭘 했는지 모르겠다.
더 큰 문제는 이익집단의 반발이 거센 예민한 사안들은 아예 메뉴판에 올리지도 않았다는 점이다. 노무현 정부 때부터 추진해온 영리병원을 비롯 카지노, 법인약국, 전문직 간 동업 등의 허용안은 대책에서 다 빠졌다. 야당이 반대하거나 이해당사자들의 반발이 이유라니 이젠 기득권을 깨려는 시도조차 포기한 게 아닌가 싶다. 이것저것 다 빼고 아이디어를 짜내느라 고작 공원 내 바비큐 허용을 대책이라고 내놓는 해프닝이 벌어진 것이다.
고용 없는 성장은 1990년대 이후 제조업에서 줄어들기 시작한 고용을 서비스업에서 받아내지 못한 데 원인이 있다. 고용의 약 7할을 차지하는 서비스업에서 획기적으로 일자리가 생기지 않고선 고용률 70% 목표는 더욱 멀어질 뿐이다. 청년을 위한 제대로 된 일자리도 고급 서비스업 혁신에서 나와야 마땅하다. 세계적으로 연간 700만명의 의료관광객이 400억달러를 쓰고, 아시아 각국이 카지노 고객 유치에 혈안인데도 유독 한국만 오불관언이다. 일자리는 어디서 만들 것인가.
▶ "기성용, 늙은 여자랑…" 한혜진에 막말…경악
▶ 개그우먼 남편, 바람 피면서 '10억' 빼돌리더니
▶ 20대女, 콘돔 기피 남친과 여름휴가 갔다가…
▶ 장윤정 母 "행복하길 바라지만 진실은…" 충격
▶ 男동생, 친누나와 한 침대서 잠자리 갖더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