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이해는 간다. 일본의 과거사 왜곡이나 중국의 동북공정에 포위된 채 북한이 6·25전쟁을 일으켰다는 사실조차 모른다면 이는 심각한 일이다. 그렇지만 역사교육은 수업시간을 늘리고 수능 과목으로 지정하면 해결되는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어떤 역사를 가르치느냐는 게 문제의 본질이다. 박 대통령이 “보편적으로 인정이 된 역사를 가르쳐야지 ‘내 생각은 이렇다’고 해서 가르치면 안 된다”고 강조했던 그대로다.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는 역사 교과서들이 널려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과서 왜곡 논란이 10년 넘게 벌어지는 동안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를 빼야 진짜 민주주의가 된다는 식의 좌편향 역사관이 온통 교실을 장악했다. 사료까지 날조해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을 모욕하고 현대사를 폄하하는 소위 백년전쟁 같은 저질 역사해석이 판을 친다. 현대사 교과서들에는 정주영·이병철 같은 세계적인 기업인들의 성과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다. 그것을 바로잡자는 새 교과서에 대해 근거 없는 공격과 불매운동, 심지어 집필자에 대한 뒷조사가 벌어지는 판이다. 1980년대 ‘해방전후사의 인식’류의 왜곡된 좌경적 민중사관이 교단을 점령하고 있는 상황이다. 왜곡된 교과서와 그런 교과서에 기초한 역사교육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그런 교육은 가르치는 것이 더 위험하다. 과연 어떤 역사를 가르칠 것인가.
▶ 정선희, 남편과 사별 이후 어떻게 사나 봤더니
▶ 아내에 변태적인 성관계 요구했다가…경악
▶ 여친 가방 떨어뜨리자 '콘돔'이…발칵
▶ "장윤정 母, 돈줄 끊겨 같이 죽자며…" 깜짝 폭로
▶ 성동일, 출연료 얼마나 받길래…깜짝 고백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