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부는 법치주의의 최후 보루다. 그런 사법부가 하나의 주제를 두고 이렇게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면 도대체 국민들은 어느 장단에 춤을 추라는 말인가. 같은 범죄에 대해 법원마다 처벌이 달라지는 것과 다를 게 없다. 이런 식이라면 법에 대한 신뢰나 재판결과에 대한 복종심도 사라진다. 안정적 법률 생활은 실종되고 사법 불신만 높아질 수밖에 없다. 물론 회사마다 상여금 지급 방식이 달라 어디까지를 통상임금으로 볼 것인지 판단이 쉽지는 않다는 점을 모르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사법부가 어떤 형태로든 통상임금에 대한 최소한의 판단기준이라도 제시했어야 마땅하다. 문제는 법조문의 문면상 표현을 구실로 오랜 관례나 관행을 제멋대로 깨버리는 판사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런 혼란상이 생기는 것이다.
지금처럼 판사들이 주관에 따라 원님재판식 판결을 내리는 건 법치주의를 스스로 허물어버리는 것과 같다. 사회 분위기에 휩쓸려 법정 밖에서 활약하는(?) 막말 판사들까지 등장하는 요즘이다.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될 경우 추가로 발생하는 인건비만 50조원이라고 한다.
노사 묵계의 오랜 관행을 판결 하나로 바꿔 버리자는 입법파괴적 판결을 내놓는 판사들은 먼저 실적급이라는 단어가 왜 존재하는지부터 진지하게 설명해야 한다. 사법의 영역까지 포퓰리즘이 파고 드는 것인지.
▶ 박한별, '세븐 안마방 사건'에도 혼자서…깜짝
▶ 현미 "15세 연하 男, 나를 보듬어…" 화끈하게
▶ 시장후보, 20대女와 채팅서 나체 사진을 '발칵'
▶ 한고은 "클럽에서 한 남자가 날…" 충격 고백
▶ 유퉁, 33세 연하女와 7번째 결혼 앞두고 '눈물'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