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체질 바꾼 50대 수장…大-中企 난제 풀 구원투수로

입력 2013-07-29 17:07   수정 2013-07-30 00:07

대한상의 박용만 회장 단독 추대 - 서울상의 회장단 회의…8월 21일 총회서 최종 확정

두산그룹 경영능력 검증…소비재→중공업 변신 주도
오너 권위 버린 SNS 스타…트위터 팔로어만 16만명
두산·대한상의 깊은 인연…박두병 등 3부자 회장 배출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58)의 대한상공회의소(이하 상의) 회장 추대는 일찌감치 예견됐다. CJ그룹 비상경영위원장을 맡은 손경식 전 회장이 지난 9일 물러나자 재계에서는 차기 회장 후보 1순위로 박 회장을 꼽았다. 두산그룹의 구조조정을 주도하면서 경영 능력을 검증받은 데다 신망까지 두터워 중소·중견기업과 대기업을 아우르는 종합경제단체인 상의 수장으로 적임자라는 이유에서다.

○그룹 체질 개선으로 능력 검증

박 회장은 전문경영인을 능가하는 실무 능력을 갖춘 오너 기업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4월 두산 회장에 취임하기 전까지 바닥부터 실무를 익혔다. 1982년 두산건설에 사원으로 입사해 두산음료 동양맥주 (주)두산 두산인프라코어 등을 두루 거치면서 경험을 쌓았다.

박 회장의 경영 능력이 빛을 발한 것은 1990년대 중반 두산그룹의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하면서다. 그는 OB맥주 등 주력 사업을 과감히 매각하면서 그룹 체질을 혁신적으로 바꿨다. 또 △2001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 △2005년 대우종합기계(두산인프라코어) △2006년 영국 미쓰이밥콕(두산밥콕) △2007년 미국 밥캣(두산인프라코어인터내셔널) △2009년 체코 스코다파워(두산스코다파워) 등 1998년부터 17건의 인수합병(M&A)을 성사시켰다. 이를 통해 두산은 맥주 등 소비재에서 중공업·기계 등 산업재 중심 기업으로 변신할 수 있었다.

M&A로 공격적 경영을 펼쳤지만 그룹 회장이 된 후에는 내실 위주로 그룹을 이끌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5억달러 영구채 발행 등 선제 구조조정으로 계열사 재무구조를 안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재계는 두산의 체질을 변화시켜 글로벌 경영을 추진해 온 박 회장의 역량에 비춰볼 때 재계 수장으로 한국 산업계가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수완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소통 리더십 기대

‘경제민주화’ 바람 등으로 재계에서는 소통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상의 회장 역시 회원사들을 잘 이끄는 것 이상의 역할이 요구된다. 박 회장은 재계의 이런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인물로 꼽힌다.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소통 경영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미래다’라는 두산 광고 카피를 만든 이가 바로 박 회장이다.

그는 진솔하고 친근한 모습으로 소통에 힘써왔다. 박 회장은 대기업 오너 회장이라는 권위를 벗어던지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세상의 스타가 됐다. 직원들에게 외상 냉면값을 빌리고, 출근하기 싫어하는 직원에게 차를 보내주겠다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글은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재 그의 트위터 팔로어는 16만명이 넘는다.

또 직원들을 위한 음악콘서트를 마련해 자신이 직접 사회를 맡고 매년 대학 기업설명회에 참석해 인재를 구하는 ‘최고경영자’의 모습은 재계에 신선한 충격을 줬다. 두산이 내부적으로 상무 전무 부사장 등 직급을 없애고, 점수에 따라 일등부터 꼴찌까지 줄을 세우는 인사 제도를 폐지할 수 있었던 것도 박 회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재계 관계자는 “지금은 기업에 주주와 종업원의 이익 극대화 이상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이 요구되는 시대”라며 “박 회장이라면 새로운 대·중소기업 관계 정립 등 재계 현안을 잘 풀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 삼부자 상의 회장 배출

두산가는 상의와 남다른 인연이 있는 그룹이다. 박 회장의 부친인 고 박두병 두산그룹 초대 회장은 1967년부터 1973년까지 6년간 제6~8대 상의 회장을 지냈다. 박 회장의 형인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도 2000년 제17대 상의 회장에 취임해 5년 넘게 일했다. 아버지와 형에 이어 삼부자가 상의 회장이 되는 것이다. 전문경영인인 고 정수창 회장이 1980년 상의 회장에 선임된 것을 감안하면 두산그룹은 네 명의 상의 회장을 배출하게 된다.

상의 회장이 많이 나온 것은 그룹의 역사가 깊기 때문이기도 하다. 두산그룹은 1896년 8월1일 서울 종로4가에 세워진 ‘박승직상점’에서 출발했다. 올해로 창립 117년을 맞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이다. 박승직 씨의 아들이 박두병 회장이다. 두산그룹의 재계 순위(자산 기준·공기업 제외)는 12위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박한별, '세븐 안마방 사건'에도 혼자서…깜짝
선물 안 사준다니까 '사라진 아내' 알고보니
'박지성 연봉' 공개…여친 김민지가 부럽네
한고은 "클럽에서 한 남자가 날…" 폭탄 고백
현미 "15세 연하 男, 나를 보듬어…" 화끈하게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